한국처럼 길거리에 현수막이 많은 나라는 없다. 오죽하면 한국을 ‘현수막 공화국’이라고까지 할까. 현수막은 도시 미관을 해치고, 시야를 막아 운전자와 보행자의 안전을 방해한다. 전동킥보드를 타던 대학생이 정당 현수막 게시용 끈에 목이 걸려 인도 바닥으로 넘어지는 사고가 있었고, 현수막이 찢겨 차도를 운행하던 차량에 손상을 입힌 적이 있었다. 특히 정제되지 않은 혐오나 비방 문구를 담은 정치성 현수막은 아동과 청소년의 정서에 미치는 폐해가 크다. 현수막 철거와 처리는 고스란히 지자체의 몫이다. 현수막 재활용률은 23%에 그치기 때문에 대부분 소각한다고 한다. 따라서 수거와 처리 비용은 시민의 세금으로 충당된다. 업사이클링 사회적 기업 ‘터치포굿’을 운영하는 박미현 대표는 “정치 현수막은 일반 현수막보다 질이 낮고 색깔도 화려하기 때문에 활용도가 떨어진다”면서 “특히 후보자 얼굴이 인쇄된 부분은 그대로 쓰기 어려워 폐기되는 물량이 많다”고 말한다(2021. 4. 20. 조선일보 보도 재인용). 이런 폐해를 방지하기 위해 「옥외광고물 등의 관리와 옥외광고산업 진흥에 관한 법률(옥외광고물법)」은 제8조 (적용배제)의 7가지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현수막을 시·군에서 설치
도봉구청이 1층과 2층의 자투리 공간을 도봉구민에게 무더위 쉼터로 제공하고 있다. 7월 10일부터 9월 30일까지 80여 일간 (주말, 공휴일 포함) 운영되는 이 쉼터의 면적은 920㎡로서 다른 지자체에 비해 규모가 월등히 크며, 시간을 보낼만한 콘텐츠도 다양하다. 콘텐츠는 모두 10개의 테마 공간으로 나뉘어 있다. 1층에는 취미방 (바둑, 장기,체스), 아동방 (바나나시소, 미끄럼틀, 바닥메트, 볼풀장), 독서방(도서,테이블), 공유라운지 (편안한 의자)가 있다. 2층에는 영상방(IPTV), 수다방 (커피·음료 취식 가능), 영상체조방 (IPTV, 메트), 힐링방 (안마의자, 산소발생기), 낮잠방(리클라이너 소파, 산소발생기), 셀카방 (거울, 특수 조명시설, 가발)이 마련되어 있다. * ( )는 비치된 물품들임, 영상방은 다양한 영상을 통해 변화에 적응하는 힘을 기르는 공간 올해는 예년보다 무더위가 극심해 노인들과 경제 여건이 어려운 서민들에게 냉방비는 큰 부담이 아닐 수 없다. 그래서 도봉구의 무더위 쉼터 운영 키워드는 “셰어콘(share con)”과 “휴가(休家)”이다. 구민에게 공공기관의 에어콘을 공유하여 내 집처럼 편안하게 쉴 수 있는 공간을 제공
우산은 가정이나 개인의 필수품이지만, 기념품으로 받거나 뜻하지 않게 비를 만나 값싼 우산을 구입하는 경우가 있어 누구나 2~3개씩은 갖고 있다. 오랜 기간 비가 오지 않을 때는 애물단지가 돼 버려지는 것이 많다. 전 세계에서 1년 동안 버려지는 철재 우산살을 모으면 에펠탑 25개를 만들 수 있다고 한다. 하지만 버려지는 우산이 재활용되지 않아 환경오염의 주범이 된다는 것이 문제다. 우산에는 120개의 각기 다른 소재의 부품(폴리에스터 우산천, 철재우산 살, 플라스틱 우산대, 플라스틱 또는 나무 손잡이, 철재 또는 플라스틱 우산살 연결 피스) 이 사용된다. 재활용하려면 재질별로 분리해야 하는데 그냥 통째로 버리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소각이나 매립장으로 보내진다. 이탈리아 기업 깅코(Ginko)는 이 모든 부품을 재활용이 가능한 폴리프로필렌 (PP)이라는 단일 소재를 사용했고, 부품 수도 20개로 줄였다. 우산살의 경우 모두 하나로 연결돼 있다. 시각적 디자인을 살렸을 뿐 아니라, 무게도 보통 우산보다 훨씬 가볍다. ESG와 디자인 ESG란 Environment(친환경), Social(사회적 책임), Governance (지배구조 개선, 투명경영)의 머리글자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