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가 가져온 경기침체가 고용을 크게 위축시키고 더 나아가 고용 충격을 가져왔다.
여기에 제4차 산업혁명과 같은 기술발전이 촉발한 노동시장과 환경의 변화는 미래 불확실성을 앞당겼고, 이로 인해 사회 양극화 현상은 더욱 심화됐다.
사회적 갈등이 고조되는 가운데, 고용을 비롯해 2030 청년 세대가 겪는 어려움은 삶의 질마저 떨어뜨리며 극한 상황으로까지 내몰리기도 한다.
광역과 기초 너나 할 것 없이 여러 지자체가 앞 다퉈 청년 정책을 내놓고 있는 가운데, 해를 거듭하며 청년 인구 유출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울산광역시가 청년 문제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대 과제로 인식하고 일자리 창출은 물론 주거안정 등 맞춤형 청년 정책을 펼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울산시는 내년도 청년예산 1,000억 원 시대를 열어 분야별 청년지원을 대폭 강화키로 했다.
올해보다 491억 원 증가한 1,076억 원으로 역대 최대 규모다.
이를 바탕으로 5대 분야, 76개 세부사업이 추진된다. 일자리 분야 26개 사업 152억 원, 주거 분야 12개 사업 503억 원, 교육 분야 12개 사업 308억 원, 복지 및 문화 분야 18개 사업 103억 원, 참여‧권리 분야 8개 사업 10억 원이 투입된다.
무엇보다 내년도에는 청년이 처한 당장의 어려움을 해결하고, 삶의 질이 실질적으로 개선되는 데 도움이 되도록 맞춤형으로 설계됐다.
사회에 첫 발을 내딛는 청년에게 연간 50만 원의 청년수당이 지급된다. 울산에 거주하는 만24세 청년 1만 4,000여 명이 대상이다.
사회 참여 의욕을 상실한 은둔형 청년도 발굴해 심리상담은 물론 직업훈련을 지원키로 했다.
군복무 중인 청년들이 안심하고 군 생활에 전념하도록 상해보험료도 지원한다.
지자체와 대학, 지역기관 및 기업 간 협업해 지역 맞춤형 인재를 길러내고 연계 취업을 통해 청년들의 지역 정착도 돕는다. 또 공공부문 중심으로 청년인턴 채용을 확대해 양질의 일자리를 늘리겠다는 계획이다. 지역 소재 중소기업이 지역 청년을 정규직 채용할 경우 지급하는 특별장려금을 10% 추가 지원해 청년 채용을 장려키로 했다.
주거 안정 측면에서 ‘청년월세 특별지원’과 ‘청년가구 주거비 지원’으로 주거 취약 청년을 적극 지원하고, ‘중소기업 청년 근로자 교통비 지원’으로 산업단지 내 청년인력 유치에 기여한다.
‘청년정책 플랫폼 개편’과 ‘청년활동 지원’, ‘정책거버넌스 활성화’를 통해 청년친화 정책 전달체계를 확립한다.
지역 내 청년정책과 활동지원 사업, 커뮤니티 등을 모은 통합 정보 온라인체제기반(플랫폼) ‘유페이지(U-PAGE)’를 확대 구축해 청년 교류를 활성화 하고, 정책연구회 등의 청년 협치 기구를 더욱 활성화 할 계획이다.
송철호 시장은 “미래의 주역인 청년을 위한 사회 안전망 구축 없이는 울산의 미래도 없다.”고 강조하면서 “청년예산 1,000억 원 시대의 개막으로 지역의 청년들이 희망을 되찾고, 울산의 미래도 함께 밝아지길 기대한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