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점숙 경상북도 구미시 상모사곡동행정복지센터 맞춤형복지 팀장 “어르신 우울감 낮추고, 행복 높였다”

행정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동시에 노인맞춤돌봄서비스·경로당 행복도우미 지원사업을 조기에 활성화하는 데 기여. 취약계층 어르신의 『우울감 zero 자존감 up』 프로젝트 기획 추진

코로나19로 인해 우울감을 겪는 어르신들을 위해 혁신적인 사업을 추진하여 지역주민들로부터 칭찬이 자자한 김점숙(구미시 상모사곡동행정복지센터) 팀장을 만났다. 사회복지 실천가로서 세상을 바꿔가고자 사회복지사의 ‘꿈’을 안고, 지역 맞춤형 복지 사업을 발굴하기 위해 노력하는 공무원이다.

 

2021년 보건복지부 ‘코로나19 우수사례’ 모집 공모에 선정되기도 했으며, 2021년도 경상북도 혁신분야 경연대회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하는 등 그야말로 모범 공무원의 느낌이 확 느껴졌다.

 

 

Q. 자기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구미시청에서 정보통신직으로 근무하다가 사람과의 따뜻한 정을 나눌 수 있는 사회복지가 매력적으로 느껴져 나이 마흔에 대학원에서 사회복지를 전공했습니다. 현재는 사회복지직으로 주민과의 최접점인 행정복지센터에서 맞춤형복지 팀장으로 근무하고 있습니다.

 

Q. 우수사례인 취약계층 어르신들의 ‘우울감 제로 자존감 업’ 추진 배경은?

코로나19로 노인복지관과 경로당이 문을 닫았고, 어르신을 위한 각종 행사나 취미교실 등이 모두 취소돼 홀로 계시는 어르신들의 우울감이 심각한 사회적 문제가 됐습니다. 이를 해결하고자 이 사업을 추진하게 됐습니다.

 

Q. 관련한 주요 우수사례?

 

• 경로당 행복도우미팀 ‘경북형 마스크’ 제작(2만 2,000여 장)

• 노인맞춤 체조·요가 10여종 개발

• 독거어르신 욕구 조사(어르신 1,600명 건강상태 등)

• 노인 맞춤 돌봄대상자 모집 및 교육(공무원·생활지원사·행복도우미)

• 사랑의 텃밭 가꾸기 사업 등

 

Q. 이 프로젝트의 성공 요인은 무엇인가요?

협업기관들과 협의체를 구성해 사회적 가치를 공유함으로써 많은 분의 적극적인 참여로 노인맞춤 체조·요가 개발이 인기를 얻었으며, 다양한 SNS 매체를 활용해 시민들과 소통하며 공감을 이끌어낸 것이 주효했습니다. 어르신들도 ‘사랑의 텃밭 가꾸기’ 등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주셔서 좋은 결실을 맺을 수 있었습니다.

 

Q. 사업 초기에 홍보도 중요했을 것 같은데요, 어떻게 했는지요?

신규 사업이라 대상자 모집 등 사업의 조기 활성화를 위해 시민들에게 많은 홍보가 필요했습니다.

언택트 시대에 맞춰 페이스북에 사업을 올려 시민들과 소통하며 공감과 관심을 이끌어내었고, 유튜브 〈김점숙의 복지TV〉를 개설하여 국민재난지원금 지급 등의 정보를 제공했으며, 다양한 언론매체에 활용함으로써 전국으로 확산되는 성과가 있었습니다.

 

Q. 사업 성과와 보람은?

취약어르신의 우울감을 다소 줄여줄 수 있었다는 데 큰 의미를 두고 싶습니다.

이 사업을 추진하는 도중에 연락이 안 되거나 행방을 모르는 어르신이 있어 끝까지 추적한 결과 홀로 쓰러져 있는 분을 발견했습니다. 소중한 생명을 구할 수 있었습니다.

 

최근 무작위 전화 친절도 조사에서 만족도가 매우 높았습니다. “말하면 뭐하겠노, 100점 만점이제” 하시는 어르신들의 말씀을 듣는 순간, 주말도 없이 매달린 1년간의 피로가 싹 사라지는 듯한 보람을 느꼈습니다.

 

Q. 마지막으로 하고 싶은 말은?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것은 볼 수도, 들을 수도, 말할 수도 없다. 다만, 가슴으로 느낄 뿐이다”라고 한
헬렌 켈러처럼, 가슴으로 느낄 수 있는 복지를 위해, 하루하루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보람을 느낄 수 있어 감사할 따름입니다.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춘천시 바이오 비전 밝힌다"...육동한 시장, 다롄에서 성장 전략 제시

육동한 춘천시장은 다롄 우호도시를 방문 춘천시의 바이오산업 육성정책과 미래성장 비전 청사진을 제시했다. 육동한 춘천시장은 18일 다롄 샹그리라호텔 3층에서 개최된 우호도시 원탁회의에 참석 춘천 바이오 전략을 공유했다. 이번 원탁회의는 다롄시가 '5월 국제개방월'을 맞이해 우호도시를 대상으로 개최한 회의다. 이 자리에는 슝 마오 핑 다롄시 당서기, 천 샤오 왕 다롄시장, 다마쓰 타쿠야 일본 이와테현 지사, 김응수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중국사무소장 등 국내외 주요 인사들이 대거 참석했다. 자리에서 육 시장은 "춘천시 69개 바이오기업은 연매출 1조 5000억원 이상을 기록하고 있다"며 "푸드테크 연구지원센터, 연구개발특구 유치 추진 등 미래산업을 위해서도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어 글로벌 혁신특구, 국가첨단 전략산업 특화단지 등 체계적이고 선도적인 바이오 산업 정책을 공유했다. 한편 춘천시는 지난 2003년 다롄시와 우호도시 협약을 체결한 이래 행정, 문화, 관광 분야에서 22년간 교류를 이어오고 있다. 이번 회의를 계기로 산업 분야까지 교류 협력 지평을 확대해 나가는 기회의 장이 됐다는 평가다. [지방정부티비유=전화수 기자]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