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분석

송영길 조국 사과, 이래도 욕먹고 저래도 욕먹고…

‘송영길의 조국 사과’ tvU 데이터랩 댓글 분석 ①

[편집자 주: 대선 후보 관련 뉴스의 말미에는 매일 수십만 건의 댓글이 붙는다. 댓글 대부분 상상할 수 없는 수준의 불만을 드러내거나 자기 마음에 들지 않는 후보나 정당을 공격하기도 하지만 긍정적인 의견 또한 적지 않다.


 

그렇다면 일반인들이 대선후보에 대해 긍정, 혹은 부정 댓글을 다는 이유가 무엇일까? 뉴스메이커인 대선후보에 대한 호불호일까? 아니면 익명성과 저급성을 이용해 자신이 인정받고자 하는 욕구일까? 전국 언론사의 댓글을 실시간으로 분석하고 있는 인터넷 신문, tvU(The voice of US)의 ‘데이터 랩’에 드러난 댓글 심리학을 통해 4명의 대선후보에 대한 이미지를 분석해 본다.]

 

mnln****이게 뭔 뻘짓이냐? 기껏 멍석 깔고 한다는 소리가 죄국이가 그렇게 무섭드나? 선거날만 손꼽아 기다리는 국민은 만만하고?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6월 2일 ‘조국 사태’에 대해 사과를 하면서, “공정과 정의를 누구보다 크게 외치고 남을 단죄했던 우리가 과연 자기 문제와 자녀들의 문제에 그런 원칙을 지켜왔는지 통렬하게 반성해야 한다”면서도 (그런 원칙은) “법률적 문제와는 별개”라고 했다. 또한 “조 전 장관 가족에 대한 검찰 수사의 기준처럼 윤석열 전 검찰총장의 가족 비리에도 동일하게 적용돼야 할 것”이라 한 송 대표의 말이 기사화되자 여당은 물론 전국 언론사의 관련 기사에 송 대표를 성토하는 분노의 댓글이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전국언론사 댓글을 분석하고 있는 지방자치연구소 tvU 미디어 랩(대표 이영애)는 이날 하루 관련 기사에 달린 2만5000건에 달하는 덧글을 분석했다. 〈‘싫어요’가 가장 많이 달린 기사 톱10〉에서도 10개 중 9개가 송 대표 사과와 관련된 기사였고 〈댓글이 가장 많이 달린 기사 톱10〉도 마찬가지였는데 이 가운데 머니투데이의 「與 강성 지지층, 뒤집어졌다…"송영길 사퇴, 조국은 대선 출마를」이란 제목에 가장 많은 977개의 댓글이 달렸다.

 

 

“**** 사과는 "즉각" "진정성 있게" "사족 없이" 하는 것이다.. 지금 송영길은 국민. 언론. 윤석열 전 총장에게 회초리를 들며 훈계하는 것인가? 서두에 밑밥 깔고 구구절절 조국 감싸기 눈물겹고 애잔하다..그나마 강성 친문 친여들 극성 극악한데 다 무릎쓰고 사과하는 척이라도 하니 칭찬해야하는건지....2021.06.03. 00:59:04”

 

대부분의 댓글에서 일반인들이 송 대표의 사과에 분노를 터트리는 것은 ‘윤석열을 물귀신 작전으로 끌어들였다’는 것이었다.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경주 APEC 성공 기원”… 김창준 등 전 미국 연방의원 7명 방문

경주시는 김창준 한미연구원과 미국 전직 연방의원협회(FMC) 소속 전직 의원들이 지난 18일 경주를 찾아 APEC 정상회의의 성공적 개최를 기원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방한은 김 연구원과 FMC의 네 번째 경주 방문으로, 매년 가장 한국적인 도시로 꼽히는 경주를 찾아 민간 외교 활동을 펼치고 있다. 김창준 한미연구원은 한국계 미국인으로는 처음으로 미 연방 하원의원을 지낸 김창준 전 의원(공화당·캘리포니아)이 이사장으로 있는 단체다. FMC는 전직 미국 연방의원들의 모임으로, 세계 각국의 정부·기업·단체와의 교류를 통해 글로벌 네트워크 확대를 도모하고 있으며, 김 전 의원 역시 FMC 소속이다. 이번 방문단에는 김 전 의원을 비롯해 △존 사베인스 전 하원의원(민주당·메릴랜드) △비키 하츨러 전 하원의원(공화당·미주리) △브랜다 로렌스 전 하원의원(민주당·미시간) △존 캣코 전 하원의원(공화당·뉴욕) △앤 마리 버클 전 하원의원(공화당·뉴욕) △콴자 홀 전 하원의원(민주당·조지아) 등 전직 의원 7명과 배우자 등 총 12명이 포함됐다. 이들은 경주시의 환영 만찬에 참석한 뒤 월정교와 동궁과 월지 등 경주의 주요 야경 명소를 둘러보며 신라 천년 고도의 역사와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