맞춤형 복지로 전남 구석구석에 온기 불어넣다

급격한 고령화로 기초생활보장과 의료급여 수급자 비율이 전국 평균보다 높은 편인 전라남도. 칼바람이 부는 겨울이지만, 맞춤형 복지로 온기를 불어넣는 데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우리 동네 복지기동대 등 복지안전망 강화 

 

초고령사회에 진입한 전라남도는 도민 전 체 인구 대비 노인 인구비율이 최근 5년간 0.5% 넘게 증가, 2020년 11월 말 기준 노인 인구 비율이 23.5%로 전국 평균 16.3%를 넘었다. 장애인 인구도 전체 인구의 7.5%인 14만 2,000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다.

 

이처럼 돌봄과 지원이 절실한 계층이 많은 전라남도는 지역 특성을 살린 맞춤형 서비스 로 지역 곳곳에 온기를 불어넣고 있다. ‘우리 동네 복지기동대’가 대표적이다. 전등 교체, 전자제품 수리 등 취약 계층이 일상 에서 겪는 생활 불편과 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전국 처음으로 시작했다.

 

여기에는 전남 22개 시·군과 297개 전체 읍·면·동 319개, 2,200여 명이 활동 중이며, 2020년 10월 기준 4,966가구에 16억 7,200만 원을 지원했다. 


2020년에는 코로나19라는 예상치 못한 위기로 생계가 막 막해진 도민에게 집중 지원했다. 36만 가구에는 전남형 코로나19 긴급생활비 1,200억 원을, 4만여 가구에는 259 억 원에 해당하는 위기가구 긴급생계비가 지원됐다. 갑작 스러운 위기 발생으로 생계가 곤란해진 가구도 발굴해 신 속히 지원하는 긴급복지지원 사업도 기준을 완화해 기준 중위 소득 75% 이하 1만 4,000가구를 대상으로 130억 원을 지원했다. 


어르신의 4고 해소  
노인들이 흔히 겪는 4고(빈곤, 고독, 질병, 무위)를 해소하 기 위해 끊임없이 고민하는 전라남도는 홀몸 어르신 가정 에 사물인터넷 장비와 정보통신기술 장비 1만 5,211대를 설치해 어르신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고 건 강 상태를 상시적으로 모니터링해 위급 상황 시 119와 연계해 신속히 대응하고 있다. 2016년에 전국 처음으로 ‘고독사 지킴이단’ 도 발족한 전라남도는 현재 대학생 지킴이 단까지 확대해 운영하고 있다. 


65세 이상 어르신 인구 350만 명에게 기초 연금 지급(1조 68억 원)과 전남형 노인 일자리 사업 구축(5만 300개), 경로식당 운영 (151개) 등 어르신들의 소득 공백을 최소화 하고 노년기 건강을 살피는 데도 지원을 아 끼지 않고 있다. 


장애인 맞춤형 돌봄 확대 
전라남도는 장애인의 소득 보장 지원을 확대 하고 장애 특성에 따른 맞춤형 지원으로 장 애인의 삶의 질을 높이는 데도 기여해왔다. 특히 2020년에는 전남 발달장애인 평생교 육센터 서부권과 동부권 2개소를 설치해 발달장애인의 개인별 특성에 맞춘 교육과 돌봄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반 시설도 구축했다. 


2021년에는 장애인복지 예산을 전년 대비 20억 원 늘린 2,230억 원을 확보해 장애인 돌봄 체계를 강화하고 장애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서비스를 지원한다. 장애인연금 최고 지급액 대상은 소득하위 70%까지 월 30만 원씩 지원하고 고용취약 계층인 장애인 일자리도 3,000명까지 확대해 장애아동에게 발달재활서비스를 지 원한다. 


코로나 시대 비대면 맞춤형 지원 
코로나19 발생 초기부터 방역 역량을 총동원하며 단단한 방어막을 구축해온 전라남도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 비해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을 통한 비대면 헬스케어 와 치매관리 프로그램 확대, 코로나 블루 극복을 위한 심리 지원을 강화한다. 


무엇보다 스스로 건강관리가 어려운 건강 취약계층 3,400명에게 스마트 건강기기를 지원해 실시간으로 건강 상태를 체크하며 디지털 돌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 치매 국가책임제의 일환으로 22개 시·군에 151억 원을 들여 치매안심센터를 설치 완료하는 등 치매 관련 기반 시설을 닦았다. 2021년엔 치매안심센터에 치매환자 등록을 2,000명 늘려 3만 7,000명까지 확대하고, 치매 환자를 조 기에 발굴하기 위해 14만 5,000명에게 치매 조기 검진도 추진한다.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연결과 상생, 3도 3군 관광활성화 - 3도 3군, 협력으로 길을 열다 [월간 지방정부 특별 기획 좌담회]

참석자 이영애 지방정부 발행인 (진행자) 박범인 금산군수 황인홍 무주군수 정영철 영동군수 이영애 월간 지방정부 발행인_오늘 이 자리를 마련하면서 마음이 설렜습니다. 이런 논의의 장이 자주 열려야 하지만 현실적으로 쉽지 않죠. 대한민국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벤치마킹할 가치가 있는 사례가 되기를 바라며 좌담회를 시작하겠습니다. 가나다 순으로 금산군수님부터 본인과 지역 소개 부탁드립니다. 박범인 금산군수_안녕하십니까. 세계 인삼의 수도, 금산군수 박범인입니다.금산은 비단산과 금강이 감싸는 아름다운 자연 속에서 고려인삼의 본고장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아름다운 생명의 고향 금산에서의 하루, 당신의 미래가 건강해집니다’라는 슬로건 아래 치유 관광도시로 성장하고 있으며, 인삼을 활용한 웰니스 관광과 다양한 산업을 발전시키고 있습니다. 황인홍 무주군수_반갑습니다. 무주군수 황인홍입니다. 무주는 국립공원 덕유산과 적상산을 품고 있으며, 덕유산리조트, 반디랜드, 국립태권도원 등 자연과 스포츠 관광이 조화를 이루는 곳입니다. 사계절 내내 관광객이 찾는 체류형 관광지로 자리 잡고 있으며, 반딧불 축제, 산골영화제 등 무주만의 특색을 살린 행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