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혁 정무부시장, 균특법 개정 위해 국회로

- 19일 산자위 소속 의원, 여상규 법사위원장 만나 설득에 나서 -

 

 

허태정 대전시장이 연일 대 국회 행보를 이어가는 가운데 김재혁 대전시 정무부시장도 19일 국회를 방문해 힘을 보탰다.

 

대전시에 따르면 이날 김재혁 대전시 정무부시장과 김주이 대전시 기획조정실장은 국회를 방문해 국가균형발전특별법(이하 균특법) 개정안을 다룰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이하 산자위) 위원들과 여상규 법제사법위원장을 만났다.

 

대전시는 지난 18일 허태정 시장과 김주이 기획조정실장을 중심으로 산자위 소속 위원들을 찾아 균특법 개정안의 당위성과 대전 혁신도시 지정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의원들의 공감을 확인했다.

 

19일 김재혁 정무부시장은 원활한 전체회의 통과를 위해 양승조 충남지사와 공조해 막바지 설득 작업에 나섰다.

 

산자위는 20일로 예정된 전체회의에서 대전이 혁신도시로 지정될 수 있는 근거를 담은 균특법 개정안을 심의할 예정이다.

 

대전시는 이 날이 대전 혁신도시 지정의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고 국회를 상대로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전례를 보면 소위를 통과한 법안은 전체회의 또한 무난히 통과했으나 이후 법제사법위원회와 본회의의 문턱을 넘어야 하므로 최종 확정될 때까지 긴장의 끈을 늦출 수 없는 상황이다.

 

이에 개정안의 전체회의 통과를 전제한 후속 작업으로 김재혁 정무부시장과 양승조 충남지사는 공동으로 여상규 법사위원장을 만나 균특법 개정안의 의의를 설명하고 법사위의 적극적인 협조를 당부했다.

 

대전시김재혁 정무부시장은 “지역이 고르게 발전해야 대한민국이 또 한 번의 도약을 할 수 있으며 그것이 바로 국가균형발전의 의미”라며 “대전 시민의 뜻을 하나로 모아 국회에 전달해 반드시 균특법 개정안이 산자위를 통과할 수 있도록 혼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서울 은평구, AI 등 주제 어린이 글짓기·그리기 공모전

은평구(구청장 김미경)는 어린이주간이 있는 5월을 맞아 관내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제40회 은평구 어린이 글짓기·그리기 공모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올해로 40회를 맞이한 이번 공모전은 은평구와 은평구 아동위원협의회가 공동 주최·주관하며, 아동이 상상력과 표현력을 마음껏 발휘할 수 있는 대표적인 행사로 자리잡고 있다. 공모 주제는 △AI와 우리의 미래 △나의 이웃(내가 좋아하는 이웃의 모습) △내가 구청장이 된다면? △디지털 중독으로 총 4가지다. 이는 지난 2월 은평구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주제 공모를 통해 최종 선정됐다. 올해는 인공지능과 디지털 환경에 대한 사회적 이슈부터 일상 속 공동체의 가치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주제를 담아낸 것이 특징이다. 작품 접수는 오는 16일부터 내달 9일까지다. 참가 대상은 은평구에 거주하거나 재학 중인 초등학생이며, 글짓기 부문과 그리기 부문에 중복 참여가 가능하다. 공모전 작품은 글짓기 부문에서 자유 형식의 A4 1매, 그리기 부문에서 8절 도화지 1매로 제한을 둔다. 참가 방법은 신청서와 개인정보 제공 및 수집·이용 동의서, 작품 원본을 우편으로 보내거나 은평구청 가족정책과 아동친화팀을 방문해서 제출하면 된다. 심사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