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트렌드

스스로 치유하는 인공 피부

진짜 살처럼 자가 치유하는 인공 피부가 등장했다. 피부뿐만 아니라 인대, 뼈의 강도와 내구력을 
지닌 젤리 같은 신소재로, 장차 소프트 로봇이나 의학 기기 개발에 활용될 것으로 점쳐진다.

 

호주 국립대(ANU) 화학자 루크 코날은 “이번에 개발한 소재는 특수한 화학적 성질을 지닌 하이드로젤 소재로, 사람 피부처럼 상처를 스스로 회복할 수 있다”고 전했다.
일반적인 하이드로젤이 쉽게 손상되는 반면, 수소와 탄소·질소가 결합된 이 신소재는 무거운 물체도 쉽게 들어 올릴 수 있으며, 가열하거나 냉각시키면 사람의 근육처럼 변형된다. 연구팀은 “신소재가 사람 피부처럼 상처가 나거나 찢어져도 자가치유 능력이 있다”고 말했다.

 

이번에 개발된 신소재는 소프트 로봇 공학과 의학 기기 개발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자연계에서 해파리나 해삼이 다양한 모양으로 바꾸듯 하이드로젤은 그동안 과학자들이 지속적으로 도전한 분야다. 어떤 하이드로젤은 물리적 스트레스를 견디는 반면, 또 다른 하이드로젤은 자가 치유 능력이 있다. 모양이나 색상을 바꾸기도 한다. 연구팀은 여러 차례 실험을 통해 강하고 튼튼하며 피로에 내성이 있고 자가 치유가 가능하며 모양이나 색상을 바꿀 수 있는 최초의 다이내믹 하이드로젤을 만들어냈다고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처럼 다기능 하이드로젤을 사용하면 열 자극 시 무거운 물체를 들어 올릴 수 있고, 이 소재를 이용해 만든 일종의 피부 필름은 가열하거나 냉각하면 형태가 변형되고 구부러질 수도 있으며 원상 복구도 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일반적인 하이드로젤은 형태를 바꾸는 데 10분 넘게 걸릴 수 있다. 하지만 새로운 겔은 모양을 바꾸는 데 10초밖에 걸리지 않는다. 여기서 핵심은 겔의 역동적인 수소 결합과 다이내믹 이민(Imine) 결합으로, 함께 작용해 전례 없는 성질을 만들어 낸다고 한다.

 

다이내믹 이민 결합은 자극에 따른 반응성이 높아 환경 적응과 자가 회복에 제격이다. 특히 이민 결합은 반응이 빨라 신속히 자가 치료를 할 수 있다.

 

연구진은 “이러한 물질들은 단순한 화학 작용을 통해 쉽게 제조할 수 있으며, 다른 폴리머(중합체)를 분자 혼합에 첨가하면, 훨씬 많은 기능을 늘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많은 SF 영화에서 인공지능 로봇이 이와 같은 일을 수행하는 것을 본다. 우리의 이번 연구는 바로 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중요한 첫걸음을 내디뎠다”라고 엔지니어젠 지앙(Zhen Jiang)이 말했다.
차세대 소프트 로봇을 연구하고 있는 연구원들이 새로운 하이드로젤 제조 방식에 관심 갖고 그 활용을 기대할 것으로 보인다.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서산 고품질 쌀 ‘향진주’ 네덜란드에 4차 수출

충남 서산시는 관내 쌀 생산단체인 농업회사법인 ㈜새들만이 네덜란드로 고품질 쌀 16톤을 수출함에 따라 2일 선적식이 열렸다고 밝혔다. 고북면의 ㈜새들만 본사에서 열린 선적식에는 윤석용 ㈜새들만 대표. 서산시 관계자 등 1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이번 ㈜새들만의 수출은 지난해 11월 고품질 쌀 18톤을 네덜란드로 수출한 데 이어 네 번째로, 수출액은 한화 4천만 원 규모이며 수출 품종은 ‘향진주’로 선정됐다. 한편, 시는 관내 농특산물의 수출을 위해 해외마케팅 교육과 자재비 등을 지원하는 수출선도조직 육성사업을 추진해 오고 있다. 김갑식 서산시 농업기술센터소장은 “세계 시장에서 한국 쌀의 우수성을 알리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라며 “지역 농가를 적극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시책을 발굴하고 추진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새들만은 2023년 12월과 지난해 6월 각각 17톤의 쌀을, 지난해 11월에는 18톤의 쌀을 네덜란드에 수출해 왔다. [지방정부티비유=티비유 기자]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