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신호

대전시, 안전한 등하굣길로 어린이 생명 지킨다

- 도마초, 유관기관 협업을 통한 보도 설치 첫 결실 -

 

대전시는 도마초등학교 일원에 초등학생의 안전한 등하굣길을 위한 보도설치공사를 완료하고 26일 오후 3시 준공식을 가졌다.

 

도마초등학교는 학교 주변 통학환경이 열악한 학교로 좁은 이면도로에 주차차량까지 많아 늘 초등학생의 교통사고가 우려됐던 지역으로 2018년 3월 개학기 학교 주변 위해요인 안전점검이 이뤄졌던 학교다.

 

이번 사업 준공으로 학교주변에 폭 2m, 길이 480m의 보행로가 신설됐으며, 불법주정차 단속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과속단속 폐쇄회로 텔레비전(CCTV) 등 교통안전시설이 대폭 강화됐다.

 

특히, 도마초의 보도설치는 여러 기관의 협업이 이루어졌기에 가능했다.

 

교육청에서 학교부지를 제공하고, 행안부에서 사업비를 지원하고, 서구청이 공사를 시행한 만큼 협업이 빛을 발한 전국 모범 사업이다.

 

허태정 대전시장은 시민과의 약속사업으로 어린이 등하굣길 구축사업에 역점을 두고 있다.

 

대전시는 등하굣길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초등학교 주요 통학로 151곳(보호구역 지정 기준) 중에서 141곳에 보도설치를 완료했고, 앞으로도 관련기관과의 긴밀한 협조를 통해 2020년도에도 21억 원을 투입해 탄방초 등 9곳에 사업을 추진하고, 2021년까지 대전시 모든 초등학교의 등하굣길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어린이 교통안전은 도로교통법 일부개정(일명 민식이법)으로 국민적 관심이 큰 사안으로 대전시는 2020년도에 사업비 168억 원을 투입해 어린이 보호구역 개선, 초등학교 인근 신호기 및 무인교통단속카메라 설치, 보호구역 정문 앞 노상주차장 폐지, 초등학교 등하굣길 구축사업 등 어린이 교통안전을 대폭 강화한다.

 

대전시 문용훈 교통건설국장은 “앞으로도 교통사고 사망자 줄이기에 최선을 다하고 특히 보행자 안전사고 방지와 어린이 교통사고 억제사업에 전력을 기울일 계획”이라며 “하지만 어린이 교통사고는 교통안전시설이 완벽히 갖추어지더라도 갑자기 발생되는 위험 상황에 대한 운전자의 대처가 중요한 만큼 규정 속도에 맞게 속도를 줄이는 등 각별한 주의가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연결과 상생, 3도 3군 관광활성화 - 3도 3군, 협력으로 길을 열다 [월간 지방정부 특별 기획 좌담회]

참석자 이영애 지방정부 발행인 (진행자) 박범인 금산군수 황인홍 무주군수 정영철 영동군수 이영애 월간 지방정부 발행인_오늘 이 자리를 마련하면서 마음이 설렜습니다. 이런 논의의 장이 자주 열려야 하지만 현실적으로 쉽지 않죠. 대한민국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벤치마킹할 가치가 있는 사례가 되기를 바라며 좌담회를 시작하겠습니다. 가나다 순으로 금산군수님부터 본인과 지역 소개 부탁드립니다. 박범인 금산군수_안녕하십니까. 세계 인삼의 수도, 금산군수 박범인입니다.금산은 비단산과 금강이 감싸는 아름다운 자연 속에서 고려인삼의 본고장으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아름다운 생명의 고향 금산에서의 하루, 당신의 미래가 건강해집니다’라는 슬로건 아래 치유 관광도시로 성장하고 있으며, 인삼을 활용한 웰니스 관광과 다양한 산업을 발전시키고 있습니다. 황인홍 무주군수_반갑습니다. 무주군수 황인홍입니다. 무주는 국립공원 덕유산과 적상산을 품고 있으며, 덕유산리조트, 반디랜드, 국립태권도원 등 자연과 스포츠 관광이 조화를 이루는 곳입니다. 사계절 내내 관광객이 찾는 체류형 관광지로 자리 잡고 있으며, 반딧불 축제, 산골영화제 등 무주만의 특색을 살린 행사들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