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현정 위원장이 제5대 공노총 이끈다 "조직 확대로 노조 영향력 키우겠다"

 

 

석현정 전국시군구공무원노동조합연맹(시군구연맹) 위원장이 대한민국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의 제 5대 노조위원장으로 선출돼 앞으로 3년간 공노총을 이끌게 됐다. 

 

석현정 위원장은 11월26일 KBS 아레나홀에서 개최된 공노총 제5대 임원선거에서 기호 1번 위원장 후보로 입후보해 828표(득표율 50.89%)를 획득, 799표(득표율 49.11%)를 얻은 기호 2번 최병욱 현 공노총 수석부위원장을 간발의 차로 누르고 당선됐다. 석현정 후보의 러닝메이트로 출마한 고영관 현 서울특별시교육청공무원노동조합 동작관악지부장은 사무총장으로 선출됐다.
 
선거 직후 석현정 위원장을 인터뷰했다. 석현정 위원장은 당선 소감을 통해 “옳은 정책, 강한 투쟁으로 승리하는 공노총을 만들겠다. 진심을 담은 우직한 황소걸음으로 동지들과 함께 가겠다”고 말했다.

 


Q_ 당선 소감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석현정 제5대 대한민국공무원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_ 17만 조합원이 힘을 모아주셔서 위원장에 당선되었고요, 힘을 모아 준 조합원들에게 고마움을 전합니다. 앞으로 내부 조직을 더 강화하도록 하겠습니다. 조직을 확대해 조직화된 힘으로 우리 공노총을 보다 단단하고 영향력 있는 조직으로, 국민과 함께하는 공무원 노동조합으로 만들겠습니다.

 

Q_ 여성 위원장으로서 큰 장점이 있을 것 같고, 기초 연맹에서 큰 역할을 했는데, 여성으로 더 챙길 분야는 무엇인가요?
석현정_ 우리 조직 안에서 여성이라고 해서 다르진 않습니다. 특히 공직사회에 여성 차별이 남아 있긴 한데 노동조합 안에서는 그런 차별이 없습니다. 이연월 위원장을 이어 제가 당선이 되었습니다. 여성 위원장이라 특별히 다르진 않을 것입니다. 지금 하고 있는 역할들을 더 강화시켜나가겠습니다.
여성의 장점은 친화력에 있습니다. 똑같은 말을 해도 남성 위원장이 하는 것보다는 제가 하면 정부나 국회, 또 조합원들에게 더 따뜻하게 다가갈 것 같습니다. 그런 장점을 더 활용하겠습니다.

 

Q_ 선거를 하고 나면 통합이 가장 중요한데요, 어떻게 통합할 계획이신가요?
석현정_ 이번 선거가 치열해서 상대편 후보도 열심히 하셨는데, 상대편 후보의 좋은 정책들은 존중해서 실행할 것입니다. 공노총이라는 조직이 기초지자체, 광역자치단체, 국가기관 교육, 국회까지 다양한 조직으로 묶여 있어 갈등이 없진 않지만 서로에게 선한 영향력을 미칠 수 있는 갈등으로 만들어나가고자 합니다. 좋은 점은 서로 받아들이고, 부족한 점은 채워나갈 것입니다. 더 많이 만나고, 더 많이 토의 하는 장을 마련하고자 합니다. 테이블에서 이야기 하다 보면 치열하게 토론하겠지만 그 과정에서 좋은 결과물을 만들 수 있습니다. 연맹간에 만날 수 기회를 만들도록 노력하겠습니다.

 

Q_ 임기 동안 이것만은 해결하고 싶은 것이 있나요?
석현정_ 공무원 연금 문제가 내년에 대두될 것 같습니다. 지금 문재인 정부가 직무급제를 도입하려고 합니다. 연금에 맞물려 정년 연장 문제도 있습니다. 굵직굵직한 현안이 있는데요, 이런 문제들은 하루아침에 해결할 수 없지만 정부와 대화하고 국회를 설득하는 노력들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2020년 정부와 단체 교섭이 진행 중입니다. 투쟁으로 이룰 수 있는 것도 있겠지만, 문재인 정부가 들어서서 교섭을 통해 정상적인 방법으로 우리의 권리를 찾아가고자 하는 노력들을 하겠습니다.

 

Q__ 국민들의 눈높이에 맞는 조합이 되도록 어떻게 노력할 계획이신가요?
석현정_ 결국 헌법상 공무원 봉사자입니다. 지금껏 우리가 제대로 국민의 봉사자였는지 반성이 필요합니다. 아주 오랜 세월 동안 국민의 봉사자가 아니라 정부의 봉사자로 살지 않았나 반성합니다.
국민의 눈높이를 조금 따뜻하게 만들 수 있는 쪽으로 변화시켜야 합니다. 정부가 국민과 공무원을 갈등하게 만들어 이용하는 부분도 충분히 있습니다. 현장에서 열심히 일하는 공무원이 대다수입니다. 그런 공무원들이 노력해야한다고 말씀하시지만 권력을 가진 정부가 옳은 정책으로 국민들을 설득해야 하는데 결국은 현장의 공무원들이 욕 먹는 이상한 상황이라 그런 것을 정상화해야 한다고 봅니다. 정부 정책들을 더 매섭게 감시하고 견제하고자 합니다.

 

 

 

 

Q__ 끝으로 지면을 통해서 독자들에게 한말씀 부탁드립니다.
석현정_ 결국 지방자치가 우리나라를 올곧게 세울 수 있습니다. 법으로만 지방자치가 아닌 실제적인 지방자치가 되도록 지자체와 국회에서 굉장히 노력하고 있지만 부족한 면도 많습니다. 법도 바뀌어야 하고 되지 않은 부분은 공무원들도 힘을 모으겠습니다. 같이 손잡고 지방자치가 뿌리내려서 국민들이 지방자치의 혜택을 골고루 볼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박달스마트시티 본격 개발, 첨단 복합문화공간 탄생" [최대호 안양시장]

대춧빛 얼굴에 늘 웃음이 걸려 있고 좌중을 휘어잡는 호탕한 바리톤 목소리는 우물 속 깊은 메아리처럼 길게 여운을 던진다. 최대호 안양시장의 시민 사랑은 ‘안전’에서 드러나고 ‘민생’에서 빛을 발한다. 작년 11월말 농산물도매시장이 폭설에 붕괴될 당시 시민 사상자 ‘제로’는 최 시장의 ‘신의 한 수’에서 나왔다. 재빠른 선제 대응은 ‘안전’의 교과서로 이젠 모든 지자체 단체장들에겐 규범이 됐다. ‘민생’은 도처에서 최 시장을 부르고 있다. 쌍둥이 낳은 집도 찾아가 격려해야 하고 도시개발사업은 매일 현장 출근하다시피 하고 장애인 시설도 찾아 애들을 안아주기도 한다. ‘안전’에 관한 한 그는 축구의 풀백이다. 어떤 실수도 허용하지 않으려 온몸을 던진다. ‘민생’에는 최전방 스트라이커다. 규제의 장벽과 민원의 태클을 뚫고 기어이 골을 넣는다. 그래서 그의 공약은 이렇게 ‘발’로 해결한다. 최 시장이 축구광이라는 건 시 청사에 나부끼는 깃발을 보면 안다. 태극기 옆에 안양시기(市旗)와 나란히 펄럭이는 시민구단 FC안양 깃발을 보라. 이런 시장을 ‘레전드’라 부른다. 장소 안양시장 접견실 대담 이영애 발행인 정리 엄정권 대기자 사진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