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행정

독일 ‘다세대의 집’ 세대교류·사회통합·자원봉사의 커뮤니티 센터

 

연방정부 지원
독일 ‘다세대의 집’은 우리나라의 다세대주택과는 완전히 다르다. 다세대의 집은 여러 세대가 모여 자원 봉사와 공동 활동을 하고 상호 교류로 지역 유대감을 키우는 지역의 사랑방 같은 곳이다. 

 

다세대의 집은 2003년 니더작센주에서 처음 선보인 후 2006년부터 독일 전국으로 확대되어 다세대의 집(mehr generationen haus)이라는 프로그램이 시작되었다. 2017년부터는 독일 전역의 550채 다세대의 집이 연방정부의 프로그램을 받아들여 체계적 지원을 받고 있다. 

 

다세대의 집 프로그램은 여러 세대가 함께 사는 다세대 집을 도시계획에 포함시켜 세대 간 교류를 촉진하는 한편 지역 특성을 고려하여 이주자 및 난민과 자녀들의 사회 통합을 지향하고 사회적 연대감을 강화하며 지역 간 균등한 생활의 질을 확보하는 것이 목적이다. 

 

다세대의 집 프로그램의 구체적 활동 목표는 세 가지로 첫째는 세대 간 지원과 교류, 둘째는 지역 사회 동화와 유대감 증진, 셋째는 자원 봉사활동이다. 

 

다세대의 집은 모든 연령과 출신이 이용할 수 있는 만남의 장소다. 공동 활동을 하는 곳이자 교류를 돈독히 하는 공간이다. 모든 사람에게 개방돼 있고, 이곳에서 시간을 보내고, 공동 활동에 참가하거나 스스로 활동할 수 있다. 

 

아이를 맡길 수 있고 고령층의 고독 극복과 자립을 지원한다. 다세대 집의 모든 사람이 각각 필요로 하는 서비스를 추구하고, 주민들이 안고 있는 다양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지원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같은 시설 안에서 다른 조직이나 단체가 활동 거점으로 이용하기도 한다. 

 

연방정부의 다세대 집 프로그램은 자치단체들이 저출산·고령화, 인구 유출 등 각각의 과제에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특히 다세대의 집 활동은 항상 다른 사회적·지역적·경제적 주체들과의 협력 아래 이뤄져 지속 가능한 사회 인프라의 중요한 요소가 된다는 점이 중요하다. 다세대의 집은 사회적 네트워크를 가진 조직 지방자치단체의 봉사활동의 거점이 되고 있다. 사회 연대의 장소이자 개인의 가치가 존중되는 인간적인 사회를 형성하는 데 기여하는 것이 다세대의 집이다. 

 

다세대의 집 중에는 기존의 시설을 개조한 곳이 많다. 예를 들면 1980년대의 ‘어머니 센터’ 혹은 청소년 활동 센터를 리모델링한 곳이 있다. 운영 조직도 다양하다. 시민들이 설립한 협회, 사회복지단체가 운영하거나 드물게 지방자치단체가 운영조직이 된 경우도 있다. 

 

다세대의 집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다세대의 집은 주민이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컴퓨터나 인터넷의 사용법을 배우는 코스, 아이의 보육 서비스, 외국인 전용의 독일어 강좌나 통합 코스, 어른 전용의 기초 교육(읽기, 쓰기, 계산) 등 다방면에 걸쳐있다. 

 

모든 다세대의 집들이 저출산·고령화 사회에 대응하고 지역내 생활을 지원하는 다양한 노력을 기울인다. 전체 다세대의 집 중 445채의 다세대 집이 이민 및 난민의 배경을 가진 사람을 위한 통합 서비스를, 약 170채의 다세대 집이 기초 지식(읽기, 쓰기, 계산) 코스(2011년 시점에서 독일 전국의 문맹
자는 750만 명이나 된다)를 제공한다.

 

다세대 가족의 자원 봉사 
모든 다세대의 집에서 자원 봉사에 의한 활동이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다세대의 집은 모든 연령대에게 열린 시설로 봉사활동을 할 수 있는 지원조직이다. 봉사활동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 각각의 사정, 능력, 희망에 따라 자발적으로 새로운 강좌와 서비스를 제안하고 자신의 생각과 능력에 따라 실시할 수 있다. 자원봉사자의 연수 및 자격 취득을 지원하거나 피드백을 위한 면담을 비롯해 자원 봉사자 교육에 힘을 쏟고 있다. 

 

자치단체도 지원 
각 다세대의 집은 연방 보조금 연간 3만 유로(3,950만 원)와 함께 지방자치단체(군 또는 시)에서 1만 유로(1,317만 원)의 보조금을 받는다. 보조금은 투자라 생각되어 연방 보조금 1유로(1,317원)당 공적 자금 또는 민간 자금 3.6유로(4,742원)가 추가된다. 다세대의 집에서는 3,000명을 넘는 직원(파트 타
임을 포함), 그리고 3만 3,000명을 넘는 자원 봉사자가 하루 평균 6만 1,400명의 이용자에게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 다세대의 집에서 이루어지는 서비스와 강좌의 수는 모두 1만 8,000건이나 된다. 다세대의 집이 지방자치단체와 공식적으로 맺은 협력·협정이 8,400건으로, 다세대의 집 1곳
당 평균 15건이다. 

독일 전역에 퍼져있는 다세대의 집들은 많은 협력기관과 제휴하고 있다. 하노버 시내 델렌 지구 다세대 집의 경우 하노버시, 하노버 청소년청, 하노버 일자리센터, 니더작센주, 니더작센 성인교육센터, 니더작센주 여성가족부, 어머니 센터 협회, 하노버 아동보호단체 등의 제휴기관이 있다. 
독일 다세대의 집은 3세대 공존과 교류, 이웃과의 친목, 지역 유대감 고취, 커뮤니티 교육의 구심점이다.

배너

발행인의 글


산림청 행정 디지털 전환 선언

산림청(청장 임상섭)은 ‘일하고 싶은 산림청, 그레이트 워크 플레이스(Great Work Place)’로 나아가기 위해 일하는 방식과 조직 문화를 개선하는 혁신방안을 마련했다고 19일 밝혔다. 지난 7월 취임한 제35대 임상섭 산림청장은 취임사를 통해 구성원 모두가 세대의 차이를 넘어 하나의 팀으로 화합해 더욱 일 잘하고 신뢰받는 산림청을 만들겠다는 강한 의지를 밝혔다. 조직문화 혁신의지에 따라 산림청은 △업무절차 개선 △행정협업 △지식행정 △공간혁신 △조직문화 개선 등 5개 분야에서 추진해 나갈 13가지의 세부과제를 설정했다. 일하는 방식 개선의 대표적인 과제로는 △산림디지털 업무기반(플랫폼) 구축 △산림재난 대응 역량 제고를 위한 범부처 협력강화 △철저한 산림 안전관리를 위한 정보중심의 지식행정 △온국민이 누리는 산림분야 공간혁신 등이 있다. 산림청은 ‘그레이트 워크 플레이스(Great Work Place) 만들기’를 기관이 지향하는 목표로 설정하고 꾸준히 조직문화 개선활동을 이어온 결과 2년 연속(22년~23년) ‘정부혁신평가 최우수기관’으로 선정된 바 있다. 임상섭 산림청장은 “산림행정의 디지털 대전환과 공직 내 세대교체 등 시대변화에 빠르게 발맞춰

네덜란드 ‘ 세대공용 모델 주거 ’ 제시, 노인은 고립 안되고 청년은 돈 아낀다

고령화는 전 세계적으로 주요 사회 문제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으며, 한국 역시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국가 중 하나이다. 최근 뉴스에 따르면 현재 한국에서는 아이를 위한 유모차보다 반려견을 위한 견모차 (개모차)가 더 많이 팔렸다고 보고되었다. 네덜란드 또한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2020년 기준 20%를 넘어 초고령화사회에 진입했다. 그들은 ‘주거 공유 모델’ 이라는 고령화 사회에서 주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혁신적인 접근법을 제시해 주목을 받고 있다. 이 기사에서는 네덜란드의 주거 공유 모델이 어떤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한국에서의 도입 가능성과 그 효과에 대해 분석해본다. 네덜란드의 주거 공유 모델 소개 네덜란드는 고령화와 젊은 층의 주거 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기 위해 주거 공유 모델을 도입했다. 이 모델은 간단히 말해 젊은 세대와 고령자가 함께 생활하는 형태로, 두 세대가 서로의 필요를 보완하며 공생하는 주거 형태이다. 젊은 사람들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임대료로 거주할 수 있으며, 대신 고령자의 생활을 돕거나, 동반자로 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모델의 핵심은 세대 간의 상호 교류를 통해 사회적 고립을 줄이고, 공동체 의식을 강화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