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형 콤플렉스 보완하는 ABC 컨설팅 이럴 땐 이렇게

  • 등록 2018.07.12 11:04:02

​강진주 편집위원, 퍼스널이미지연구소장

 

자신의 체형에 대해 핸디캡이 없는 사람은 없다. 대한민국 최고의 몸짱이든 누가 봐도 인정할 만한 미인이든 다들 한 두 가지 체형 콤플렉스는 가지고 있고, 스스로 완벽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단 한 명도 없다.

 

이미지컨설팅을 통해 어느 정도 체형을 보완할 수 있는데, 그러려면 ‘ABC 원칙’을 따라야 한다. A는 강조(Accentuate), B는 조화(Balance), C는 위장(Camouflage)이다. 간단히 말하면 자신 없는 부부은 위장하고, 자신 있는 부분은 강조하고, 전체적인 실루엣은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것이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이 ABC 원칙을 잘 이해하지 못하고 몸매 좋고 얼굴 예쁜 사람을 보고 부러워하며 따라 하려고만 하는 경향이 있다. 일례로 우리나라의 25세 이상 여성들은 모래시계형 몸매를 선호한다.

 

그러나 25세 이하의 여성들은 H형 몸매를 선호한다. 애써 노력해도 H형 몸매가 되기 어렵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는 25세쯤 되면 재빨리 포기하고 다른 것을 선택하는 것이다. 반면 남자들은 역삼각형 체형을 선호한다. 나라마다 달라서 일본의 젊은 남자들은 H형을 더 선호한다. H형 몸매가 아닌데 그렇게 보이게끔 하는 것이 바로 ‘위장’이다. 예를 들어 어깨가 좁은 남자들은 니트나 셔츠를 입고서 소매를 걷어올리면 어깨가 넓어 보이는 효과가있다. 연예인들 중에서도 어깨가 유독 좁은 남자들은 방송 프로그램에 나와서 수시로 소매를 걷어올리는 모습을자주 보게된다.

 

남자의 정장 라인도 이 원칙에 입각한다. 상의가 힙선 밑으로 내려오면 다리 길이가 짧아 보이고 힙선 위로 조금 올라가면 다리가 길어 보인다. 재미있는 것은 똑같은 체형에 대해서도 어떤 사람은 장점이라고 생각하고 어떤 사람은 단점이라고 생각한다는 점이다. 본인이 장점이라고 느낀다면 그 부분을 강조하고, 단점이라고 느낀다면그 부분을 위장하는 방법을 택해야 한다.

 

 

36.png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경주 APEC 성공 기원”… 김창준 등 전 미국 연방의원 7명 방문

경주시는 김창준 한미연구원과 미국 전직 연방의원협회(FMC) 소속 전직 의원들이 지난 18일 경주를 찾아 APEC 정상회의의 성공적 개최를 기원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방한은 김 연구원과 FMC의 네 번째 경주 방문으로, 매년 가장 한국적인 도시로 꼽히는 경주를 찾아 민간 외교 활동을 펼치고 있다. 김창준 한미연구원은 한국계 미국인으로는 처음으로 미 연방 하원의원을 지낸 김창준 전 의원(공화당·캘리포니아)이 이사장으로 있는 단체다. FMC는 전직 미국 연방의원들의 모임으로, 세계 각국의 정부·기업·단체와의 교류를 통해 글로벌 네트워크 확대를 도모하고 있으며, 김 전 의원 역시 FMC 소속이다. 이번 방문단에는 김 전 의원을 비롯해 △존 사베인스 전 하원의원(민주당·메릴랜드) △비키 하츨러 전 하원의원(공화당·미주리) △브랜다 로렌스 전 하원의원(민주당·미시간) △존 캣코 전 하원의원(공화당·뉴욕) △앤 마리 버클 전 하원의원(공화당·뉴욕) △콴자 홀 전 하원의원(민주당·조지아) 등 전직 의원 7명과 배우자 등 총 12명이 포함됐다. 이들은 경주시의 환영 만찬에 참석한 뒤 월정교와 동궁과 월지 등 경주의 주요 야경 명소를 둘러보며 신라 천년 고도의 역사와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