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트렌드

우리 삶에 피부로 와 닿는 혁신적인 디자인 사례

혁신은 멀리 있지 않다. 우리 실생활에서 얼마나 유용하게 사용되느냐에 달렸다. 이에 미국의 스파크 디자인 어워드 상에서 수상한 사례들을 소개한다.

 

 

가위나 칼이 필요없는 손으로 자를 수 있는 점선 테이프

 

 

1.png

 

택배가 발달하고 대형 할인마트가 많아지면서 테이프를 사용할 일이 많아졌다. 사용자들이 쉽게 테이프를 자르고 붙일 수 있도록 현재도 다양한 방법들이 나와있지만 여행지에 가거나 낯선 곳에 가서 테이프를 사용할 때 칼이나 가위가 없어 난처한 적이 있었을 것이다. 이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이 점선 테이프다. 가운데 구멍이 나있어 손으로도 테이프를 쉽게 자를 수 있기 때문이다. 사용자의 불편함을 조금이라도 줄여주는 것 바로 이게 혁신이다.

 

빨-노-녹-파로 충전 정도를 멀리서도 알 수 있는 네 가지 컬러 충전기

 

1.png

 

현재 시중에 나와 있는 충전기들은 얼마나 충전되었는지 알려면 스마트폰을 켜서 봐야 한다. 그러나 이 네 가지 칼러 충전기를 사용하면 충전 상태를 금방 파악할 수 있다. 충전기가 멀리 있어도 색깔만 가지고 충전 정도를 알 수 있는 것이다. 빨간색은 1~20%, 노란색은 20~50%, 녹색은 50~80%, 파란색은 80~100%가 충전되었다는 것을 말해준다. 휴대폰 외에 다른 용도의 충전기에도 도입해볼 만하다. 특히 링 모양 디자인으로 손가락을 콘센트에 넣고 뺄 수 있어 쉽고 편하다. 

 

할머니와 아이들도 쉽게 열 수 있는음료수 뚜껑 ‘이지캡’

 

1.png

 

어르신들이나 힘이 약한 아이들은 음료수 뚜껑을 따지 못해 다른 가족에게 부탁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이제 이지캡으로 만들면 그럴 필요가 없다. 심지어 한쪽 팔이 없는 사람들조차도 모서리가 있는 주변의 여러 도구들을 활용하여 지렛대의 원리로 뚜껑을 쉽게 딸 수 있다. 이런 작은 배려가 모아져 사람들을 감동시키는 것이다. 

 

다 사용한 휴지심으로 변기 속을 깨끗이 청소한다. 화장지 클리너

 

1.png

 

집이나 공중 화장실에 가면 다 사용한 휴지심들이 널려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 휴지심은 종이로 만들어져 재활용은 되겠지만 보다 혁신적으로 사용할 방법이 나왔다. 바로 휴지심으로 변기를 청소할 수 있는 친환경 세제로 만들어 물에 용해되도록 한 것이다. 휴지심을 따로 버릴 필요도 없고, 청소도구를 별도로 챙길 필요 없이 손쉽게 변기를 청소하고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수원시, '모기 없는 마을만들기' 사업 대상지 12개소로 확대한다

수원시보건소가 올해 '모기 없는 마을만들기' 사업 대상지를 12개소로 확대한다. 모기 없는 만들기 사업은 2019년 영통구보건소가 시작했다. 모기 중점 관리 지역으로 망포1동, 광교호수공원을 지정하고, 해당 지역에서 모기 집중 방제를 했다. 사업 이후 모기 민원이 대폭 감소했고, 2024년에는 사업 대상지를 관내 9개소로 늘렸다. 올해는 만석공원·조원1동·정자1동(장안구), 서둔동·경기상상캠퍼스·세류3동(권선구), 인계동·동말공원·고등동(팔달구), 광교호수공원·망포1동·영흥숲공원(영통구) 등 12개소를 중점관리대상지로 선정하고, 4월부터 11월까지 사업을 전개한다. 정화조·빗물받이 등 유충서식지와 우거진 수풀·관목 등 성충 서식지를 조사한 후 주 1회 이상 집중적으로 방제할 예정이다. 모기 없는 마을만들기 사업은 모기 생활사(生活史) 2주 이내에 유충과 성충을 동시에 방제해 재발생하는 것을 줄이고, 밀도가 높은 지역은 집중적으로 방제해 모기 발생원을 제거하는 것이다. 시범 사업 이후 영통구보건소에 제기된 모기 민원은 대폭 줄어들었다. 2024년 모기 민원은 48건으로 2019년(113건)보다 57.5% 감소했고, 중점관리대상이었던 광교호수공원과 망포1동의 모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