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0 (월)

  • 맑음동두천 7.9℃
  • 맑음강릉 10.2℃
  • 맑음서울 9.0℃
  • 맑음대전 8.9℃
  • 맑음대구 12.1℃
  • 맑음울산 10.4℃
  • 맑음광주 10.5℃
  • 맑음부산 12.3℃
  • 맑음고창 8.7℃
  • 맑음제주 13.8℃
  • 맑음강화 6.1℃
  • 맑음보은 8.3℃
  • 맑음금산 9.9℃
  • 맑음강진군 10.3℃
  • 맑음경주시 8.7℃
  • 맑음거제 11.9℃
기상청 제공

장인의 손끝에서 피어나는 가을…11월, 서울시 무형유산 공개행사 개최

남산골 한옥마을에서 전통군영무예 공개 시연과 단청장 이수자 전시 개최(11일)
서울무형유산 교육전시장에서는 매듭·자수·옥장의 전시와 공개행사(12일, 14일)
서울의 가을 정취와 함께 무형유산의 진면목을 만날 기회, 전 행사 무료 관람

 

단풍으로 물든 11월, 서울시는 서울 고유의 전통 문화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다채로운 무형유산 공개행사를 개최한다. 조선시대 군사들의 ‘전통군영무예’ 공개시연(11.11.)부터 ‘단청장’ 이수자 전시(11.11~12.14), ‘자수장’과 ‘매듭장’(11.12), ‘옥장’(11.14) 공개행사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시민들을 맞이할 예정이다. 모든 공개행사와 전시는 관심 있는 시민 누구나 무료로 참가할 수 있다.

 

먼저 11월 11일(화) 서울역사박물관 야주개홀에서 ‘전통군영무예’ 학술 세미나(오전 10시)와 남산골한옥마을 천우각 무대에서 공개 시연(오후 3시)이 각각 열린다.

 

‘전통군영무예’는 조선시대 한양을 지키던 최정예 군사들이 필수적으로 갖춘 무예이다. 정조대 편찬된 무예 교본인 ‘무예도보통지’를 근간으로 하며, 현재 전통군영무예보존회가 전승에 힘쓰고 있다.

 

오전 학술 세미나에서는 자료 구축과 전형(典刑) 제정 연구 성과를 발표하고, 오후에는 그 결과를 무예로 직접 보여주는 공개 시연 행사가 열린다.

 

같은 날인 11월11일(화) 12시 남산골한옥마을 전통공예관에서 ‘단청장’ 이수자들의 합동 전시가 개막한다. 전시는 12월14일(일)까지 계속된다.

 

단청은 건물을 보호하는 동시에 아름답게 꾸미고, 건물의 격식을 더하는 우리의 전통 건축 장식 기법이다. 이번 전시에는 단청장 양용호 보유자 문하에서 배우며 전통의 맥을 이어온 이수자들이 자신만의 현대적 해석과 감각을 담아낸 작품들을 선보인다.

 

11월12일(수) 오전10시 서울무형유산교육전시장에서는 서울시 무형유산 ‘자수장’, ‘매듭장’, ‘옥장’의 합동 전시가 시작된다. 개막과 동시에 자수장 김현희 보유자와 매듭장 노미자 보유자의 기능을 선보이는 공개행사가 열리고, 14일(금) 오후 2시에는 옥장 엄익평 보유자 공개행사가 이어진다.

 

‘자수장’은 오색실로 직물에 무늬를 수놓는 바느질 기술이다. 이번 전시에는 꽃과 새를 수놓은 화려한 화조문 보자기를 비롯해 현대적 감각으로 표현한 독창적인 조각보도 감상할 수 있다.

 

‘매듭장’은 색색의 비단실끈을 다양한 방식으로 엮어, 화려한 색감과 균형 잡힌 아름다움을 보여주는 대표 공예 기술이다. 이번 전시에는 아름다운 각양각색의 노리개가 선보이고, 공개행사에는 노미자 보유자가 직접 방망이술(어보(御寶)를 장식하던 둥근 모양의 술머리) 만드는 기술을 보여준다.

 

‘옥장’은 은은한 푸른 빛을 머금은 보석인 옥을 다루는 기술로, 옥은 동양에서 전통적으로 고급 용품의 재료로 많이 사용되어 왔다. 백옥의 봉황향로를 비롯해 장도, 비녀, 각대(角帶) 등 다양한 옥공예품의 영롱한 아름다움을 재발견할 수 있다.

 

한광모 서울시 문화유산보존과장은 “이번 무형유산공개행사는 대한민국 고유의 아름다움을 시민들과 공유하는 소중한 기회”라며 “우리의 전통문화가 세계 속에서 또 다른 새 문화를 만들어내는 원동력이 될 수 있도록 지원을 이어 가겠다”라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