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혜안에 수집된 소셜 데이터 중 ‘교육자치’로 추출한 데이터를 워드클라우드로 분석했다. 위 결과는 2016년 1월 1일부터 2016년 11월 17일까지의 결과를 수집한 것으로 출력범위를 100으로 하고 뉴스를 수집한 결과다.가중치와 검색건수에 대한 연관어를 워드클라우드로 표시했다. 글자의 크기가 클수록 가중치 값이 크고, 색이 진할수록 검색건수가 많은 것이다.
랭킹 분석을 한 결과 가중치에 따라서는 누리과정, 중앙정부, 특별회계법안, 국가재정법상 특별회계, 보육대란, 허위 회계보고서, 무상보육, 선거비용, 현수막 납품업자, 지방재정 순이었다. 검색건수 결과에서는 누리과정, 중앙정부, 교부금, 보육대란, 무상보육, 누리과정 예산편성, 지방분권, 지방재정, 공직선거법, 국가재정법상특별회계, 특별회계법안 순이었다.
가중치와 검색건수 결과 올 한 해 가장 이슈가 되었던 것은 단연 ‘누리과정’이었다. 정부가 누리과정을 처음 도입할 때 그 재원을 지방교육 재정교부금으로 부담하도록 했다. 그러나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을 목적에 맞게사용해왔던 일선 교육청에서는 새로운 지출이 늘어나게 되어 비용을 부담할 수 없다고 누리과정 예산편성을하지 않는 등 초강수를 뒀다.
특히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가 중심이 되어 각종 성명서를 발표하며 언론 보도가 되었다. 이에 맞서 교육부도감사원을 통해 누리과정 예산 편성 가능 여부에 대해 감사를 하는 등 갈수록 갈등은 심화되었다. 결국 중앙정부가 특별회계법안을 대안으로 제시하여 국회에서 논의되고 있는 중이다. 혜안 워드클라우드 분석 결과 이런누리과정 논란이 고스란히 나타났다.
‘교육감’으로 분석했더니 그 결과를 보다 선명하게 알수 있었다. 전국시도교육감협의회 회장을 역임한 장휘국 광주광역시 교육감이 결과에 나왔으며, 이재정 경기도 교육감 등이 청와대 앞에서 1인 시위를 했던 것들도 핫 이슈로 검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