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도별 1인 가구 비율
(2015년 인구주택 총조사 결과)
2015년 1인 가구 비율은 27.2%(520만 가구)로 2010년 23.9%(422만 가구)에서 3.3%p(99만 가구) 증가했다. 1990년의 1인 가구 비율은 9.0%(102만 가구)였으며, 25년 동안 18.2%p(418만 가구) 증가한 것이다.
시도별 1인 가구 비율
(2015년 인구주택 총조사 결과)
시도별 1인 가구 비율을 보면 강원도가 31.2%로 가장 높았고, 인천이 23.3%로 가장 낮았다. 주요국가 1인 가구 비율을 살펴보면 미국 28.0%, 영국 28.5%, 일본 32.7%, 노르웨이 37.9%다.
주민등록상 세대원수별 세대현황 1인 세대 증가추이
주민등록 통계상 가구원이 1명인 1인 가구가 739만 가구로 전체 가구의 34.8%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행정자치부가 분석한 9월 말 기준 주민등록 통계에 따르면 전체 2121만4428가구 가운데 1인 가구가 34.8%로가장 많았다.
1인 가구의 가구주 연령은 50대가 19.7%로 가장 많고 40대가 17.5%, 30대 17.1%, 60대 14.9%순이다. 만 17세 미만인 미성년 1인 가구는 8918가구(0.1%), 만 100세 이상은 1만2438가구(0.2%)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인 가구 가운데 남자는 51.9%로 여자(48.1%)보다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