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트렌드

수백 년의 예술이 흐르는 도시 아를, LUMA 파운데이션으로 세계의 주목을 받다

 

‘별이 빛나는 밤'의 빈센트 반 고흐, ‘레 미제라블'의 빅토르 위고, ‘선으로부터'의 이우환, 누가 이 세계적인 예술가들의 숨결을 작은 마을에서 도보 거리로 느낄 수 있다 상상이나 했을까.

 

이뿐만이 아니다.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로마 시대의 엠피시어터와, 1969년에 설립되어 매년 10만 명의 방문객을 유치하는 ‘아를 국제 사진전' 등, 이 작은 마을엔 수백 년을 아우르는 예술의 맥이 강하게 흐르고 있다.

 

이 중 최근 가장 주목 받고 있는 것은 2022년 개관한 LUMA 파운데이션이다. 외관부터 해체주의의 대표 건축가 프랭크 게리(Frank Gehry)가 고흐의 ‘별이 빛나는 밤'을 형상화한 건축물로 시선을 끌고, 그 주위로 펼쳐진 11 헥타르(약 3만3천평)의 부지, ‘파르크 데 아틀리에(Parc des Ateliers)’를 야외 전시관, 미술관, 레지던시 등으로 개발하여 예술의 평야를 이루어냈다.

 

LUMA 파운데이션은 2004년, 창립자 마야 호프만(Maja Hofmann)이 취리히에 설립한 재단에서 시작되었다. 거대 스위스 제약 회사의 딸로 유년 시절부터 아를 국제사진전을 드나들며 예술가들과 인맥을 다져온 그녀는 런던·뉴욕·LA 등 예술 중심지를 오가며 컬렉터로서 명성을 쌓았다. 또 팔레 드 도쿄, 쿤스트 할레 바젤, 뉴 뮤지엄 등의 후원자로 거듭나며 자신만의 소신이 담긴 미술관을 설립하는 꿈을 키웠다. 그렇게 2022년, 그녀의 자녀 Lucas와 Marina 이름에서 각각 두 음절을 따온 LUMA 파운데이션을 설립하게 되었다.

 

이 연대기만을 보면 거대 부호의 자선 사업으로 느껴질 수 있겠으나, 그 안을 들여다보면 이보다 지역과 예술에 대한 진심을 담은 곳이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먼저 그 시작부터 남다르다. 개인 소장품을 자랑하는 전시가 아닌, 재생 건축과 작가 레지던시 프로젝트로 출범한 것이다.

 

역사적인 문화유산을 자랑하는 아를이지만, 1960년대 후반부터는 대도시 쏠림 현상으로 인해 폐허와 다름없을 정도로 피폐해진 곳이었다. 자신의 마음의 고향이 황폐해지는 것을 두고 볼 수 없었던 그녀는 2014년부터 버려진 철로와 공장들을 뉴욕 기반 건축 사무소 셀도르프 아키텍츠(Selldorf Architects)와 함께 개발하기 시작했다.

 

또 2017년부터는 벨기에 조경 디자이너 바스 스메츠(Bas Smets)와 함께 이 모든 시설을 아우르는 야외 조각 공원을 개발하였다. 이렇게 앞서 언급된 ‘파르크 데 아틀리에'가 탄생하였고, 여기에 그랜드 홀, 포르주, 메카닉 제네럴을 포함한 6개 건축물을 재건하여 아를 국제사진전을 개최하거나, 작가들이 오랜 시간 동안 아를의 지형과 문화, 사회적 특색을 탐구하며 자신의 작업을 발전시키는 레지던시, 또 세계 곳곳의 사상가, 연구자, 과학자 등이 모여 열정적인 토론을 펼칠 수 있는 캠퍼스로 활용하고 있다. 레스토랑 레펙투아르(Réfectoire)와 서점 오프프린트(Off-Print), 또 도시의 6%를 차지하는 여러 특색있는 호텔들도 루마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이 풍경을 마리아 호프만은 ‘군도'라고 표현한다. 이는 그녀와 오랜 시간 협업한 큐레이팅의 아버지라 불리는 한스 울리히 오브리스트(Hans Ulrich Obrist)가 꾸준히 인용하는 어구로, 하나의 절대적인 세계관을 강요하는 것이 아닌, 다양한 문화와 사고가 혼재하는 가능성을 존중한다는 의미이다.

 

LUMA 파운데이션의 비전, ‘예술과 문화, 인권, 환경, 교육과 연구 간의 직접적인 관계에 집중한다'는 메시지를 함축하는 표현인 것이다. 한순간의 묘미가 아닌, 인류에게 중요한 서사를 미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여러 방향성을 각 방문객에게, 또 사회에 전달할 수 있도록 전폭적인 지원과 연구를 도모하는 곳으로 거듭나기 위해 말이다.

 

 

[지방정부티비유=티비유 기자]

배너

발행인의 글


복지부-카카오, 경로당 찾아가 디지털 교육한다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와 카카오는 10월 4일 오후 카카오 판교아지트(경기도 성남시)에서 어르신 대상 디지털 교육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업무협약식을 가졌다. ‘시니어 디지털 포용 제고를 위한 협약식’에는 보건복지부 이기일 제1차관, 카카오 권대열 ESG위원장 등치 참석했다. 이번 업무협약은 무인정보통신단말기(키오스크), 스마트폰 등 디지털 기기 확대로 인해 어르신들이 겪을 수 있는 일상생활의 불편을 완화하기 위해 각별한 관심과 배려가 필요하다는 공감대에서 추진되었다. 양 기관은 이번 협약을 토대로 어르신 대상 디지털 교육 교재 10만 부를 제작해 배포하고, 전국 100여 개 노인복지관을 대상으로 찾아가는 교육을 실시한다. 이 과정에서 카카오는 교재 제작 및 배포, 교육프로그램 운영 등을 담당하고, 보건복지부는 노인복지관 등을 통한 교육실시 협조, 교재 구성을 위한 내용 제공 등을 담당하게 된다. 보건복지부 이기일 제1차관은“사회 전반의 디지털 기기 보급 확산에 따라 어르신들의 불편이 우려되는 상황으로 이번 업무협약을 통해 내실있는 디지털 교육이 이루어지길 기원한다”라며, “어르신들의 디지털 접근성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지속 추진해나가겠다”라고 밝혔다

가짜 AI 잡는 Al 나왔다

챗GPT 할루시네이션(hallucination) 오류 지녀 AI가 각종 의학 학술지에 실린 논문을 참조해 만든 논문이 의학 연구자마저 속일 정도로 정교해졌다. 이에 따라 한 학회에서는 “대규모 인공지능 언어 모델(LLM)을 이용한 논문 작성을 금지한다”고 밝혔다. 미국 노스웨스턴대 캐서린 가오 박사 연구진은 “챗GPT로 작성한 의학 논문 초록 50편이 표절 검사 프로그램을 100% 통과했고, 전문가들마저 제출된 초록의 32%를 걸러내지 못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챗GPT는 ‘진짜 같은 가짜 논문’을 만들어 낸다는 것이다. 챗GPT를 비롯한 언어모델은 자신이 잘 모르는 문제에도 그럴듯한 대답을 내놓는 오류, 즉 할루시네이션(hallucination)을 범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챗GPT 생성 가짜 의학논문 잡아내는 AI 개발 최근 챗GPT 등 생성형 인공지능(AI)을 이용해 만들어낸 가짜 의학논문을 최고 94%의 정확도로 판별할 수 있는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알고리즘이 개발됐다. 뉴욕주립대 빙엄턴 캠퍼스 아메드 아브딘 하메드 박사팀은 지난 9월 4일 과학 저널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서 챗GPT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