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행정

스위스의 직접 민주주의...시민의 목소리가 정책이 되는 나라

스위스는 많은 사람들에게 알프스, 초콜릿, 시계로 잘 알려져 있다. 많은 남자들은 스위스 아미 나이프(Swiss Army
Knife)를 떠올리기도 한다. 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하고 흥미로운 것이 있다. 바로 스위스의 직접 민주주의이다. 스위스는 세계에서 가 장 독특한 민주주의 시스템을 가진 곳으로, 그 특성과 역사를 이해하는 것은 스위스라는 나라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스위스는 세계에서 가장 발전된 직접 민주주의 제도를 갖춘 나라로 알려져 있다. 이 제도는 국민이 중요한 정책 결정에 직접 참여할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정치적 정당성과 투명성을 높인다.

 

스위스의 직접 민주주의는 국민투표, 국민 발안 그리고 국민소환 이렇게 세 가지 주요 요소로 구성됐다.

 

국민투표는 스위스 정치 시스템의 핵심이라고 볼 수 있다. 스위스 헌법에 따르면 스위스 국민은 연방정부의 입법과정을 거친 법안에 대해 최종적인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특정 법안이 통과되기 위해서는 국민의 다수와 주의 다수의 승인이 필요하다. 이는 연방제 국가인 스위스의 특성을 반영한 것으로, 각 주의 의견을 존중하려는 의도라고 볼 수 있다.

 

국민투표는 매년 3~4회 정기적으로 실시되며, 주요 경제, 사회, 환경 정책 등이 투표 안건으로 올라오고 있다.

 

국민 발안은 스위스 국민이 직접 법안을 제안할 수 있는 제도이다. 국민이 법률 또는 헌법 개정을 제안하려면 일정 수의 서명을 받아야 한다. 예를 들어, 헌법 개정을 제안하려면 10만 명의 서명이 필요하다. 이러한 제안은 정부와 의회를 거쳐 최종적으로 국민투표에 올려진다. 이 제도는 국민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정부가 놓치기 쉬운 중요한 이슈를 공론화하는 역할을 한다.

 

국민소환 제도는 공직자를 임기 중에 해임할 수 있는 권한을 국민에게 부여하는 제도이다. 일정 수의 서명을 받으면 해당 공직자에 대한 소환 투표를 실시할 수 있다. 이 제도는 공직자가 국민의 신뢰를 잃었을 때,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장치로 기능하게 하는 것이 목표이다.

 

공직자에 대한 국민소환을 시작하기 위해 필요한 서명 수는 연방 차원과 주 차원에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연방 의회 의원에 대한 국민소환을 시작하려면 5만 명의 서명이 필요하다. 주 차원에서는 각 주의 법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구체적인 서명 수는 주별로 상이하다. 국민소환은 정치적 책임성을 강화하고, 공직자가 국민의 요구에 더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유도하게 한다.

 

이러한 스위스의 직접 민주주의는 여러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온다. 첫째, 국민의 정치 참여도가 높아진다. 국민은 중요한 정책 결정에 직접 참여함으로써 정치에 대한 관심과 이해도가 높아지도록 한다. 둘째, 정책의 정당성과 수용성이 강화된다. 국민의 의견을 반영한 정책은 더 큰 지지를 받으며, 사회적 갈등을 줄이는 데 기여한다. 셋째, 정치적 투명성과 책임성이 강해진다. 정부와 공직자는 국민의 감시 아래 더 투명하고 책임감 있게 행동하게 한다.

 

세계적으로 스위스의 직접 민주주의는 국민의 목소리를 정책 결정 과정에 반영하는 모범적인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이 제도는 정치적 참여를 확대하고, 정책의 정당성을 강화하며, 정부의 투명성과 책임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한국에 스위스의 직접 민주주의 제도를 도입하면, 국민의 정치 참여가 활발해지고 정책 결정 과정에서 투명성과 정당성이 강화될 것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국민의 목소리를 직접 반영함으로써 사회적 갈등을 줄이고 정책 수용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지방정부티비유=티비유 기자]

배너

발행인의 글


G20 17개국 국민 68% 부유세 도입 찬성...한국은 찬성률 71%, 반대는 10%에 그쳐

인류가 당면한 현안 문제 해결을 위해 만들어진 국제기구 ‘로마클럽’이 주도하는 지속가능 성장 프로젝트 '어스포올'(Earth4All)과 여론조사기관 입소스는 6월 24일 G20 18개국 설문조사에서 17개국(중국 제외)에서 부유세 찬성 의견이 3분의 2를 넘었다고 밝혔다. 이 설문조사에서는 G20 국가 중 18개국에서 각각 성인 1천 명을 대상으로 부유세와 기후변화 등을 포함한 경제 및 정치적 변화에 대한 의견을 물은 결과 17개국 국민의 68%가 경제와 생활방식의 주요 변화를 위한 재원 마련을 위해 부유층에 부유세를 부과하는 것에 찬성했다. 반대는 11%에 그쳤고, 70%는 부유층에 대한 높은 세율을, 69%는 대기업에 대한 세율 인상을 지지했다. 단 중국에서는 일부 질문이 제외됐다. 한국의 부유세 지지율은 71%로 17개국 평균보다 3%포인트 높았고, 인도네시아(86%), 튀르키예(78%), 영국(77%), 인도(73%)에 이어 5번째로 높았다. 반대의견은 10%였고, 찬성도 반대도 않는다는 의견이 17%, 모르겠다는 응답은 2%였다. 부유세 찬성률이 낮은 나라는 사우디아라비아(54%), 아르헨티나(54%), 덴마크(55%) 등이었으나 이들 국가도 찬성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