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속에서 일하며 즐기는 '무주 아웃도어 워케이션'

태권도원, 나봄리조트, 무주억유산리조트에서 머물며 체험과 할인 혜택

 

일(work)과 휴식(vacation)을 합친말, 워케이션이 지자체 관계 인구를 늘리는 하나의 축을 이루는 가운데 무주군에서도 일과 휴가를 함께 즐기는 여행상품 '무주 아웃도어 워케이션'을 출시했다고 24일 밝혔다. 

 

무주군이 내놓은 무주 아웃도어 워케이션 상품은 설천면 태권도원과 나봄리조트, 무주덕유산리조트에 머물 수 있는 3종 패키지다. 

 

태권도원에서는 '체험'을 주제로 태권도 공연과 모노레일 이용이 포함됐다. 나봄리조트에서는 '힐링'을 주제로, 서핑을 즐길 수 있는 실내 수영장과 사우나를 할인된 가격에 이용할 수 있다. 

무주덕유산리조트 패키지는 '체험과 힐링 코스'로 덕유산 곤돌라와 골프장을 이용할 수 있다. 

 

워케이션은 일과 병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태권도원은 도약센터 카페가, 나봄리조트는 나봄카페테리아가, 덕유산리조트는 설천하우스가 각각 업무 공간으로 마련된다. 또 원조 할매보쌈과 원조 전주맛집 등 인근 음식점과 카페 이용 시 할인도 적용 받는다. 

 

무주 아웃도어 워케이션 상품은 4대 보험에 가입한 직장인과 개입사업자, 특수고용노동자 등이 구매할 수 있다. 

 

상품 관련 자세한 내용은 무주워케이션(mujuworkation.co.kr)을 검색하거나, (주)블루프로그램(032-715-5633)으로 문의하면 된다. 

 

관광진흥과 배점옥 관광정책팀장은 "무주군이 올해 전북 워케이션 사업에 지정되고, 공모 사업에 선정돼 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라며 "지역 소멸 위기 속 체류형 관광객과 관계 인구를 늘려 지역경제와 관광 산업에 활력을 불어넣는 대안으로 보고, 무주에서만 할 수 있는 특별한 체험과 힐링 상품으로 엄선했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박달스마트시티 본격 개발, 첨단 복합문화공간 탄생" [최대호 안양시장]

대춧빛 얼굴에 늘 웃음이 걸려 있고 좌중을 휘어잡는 호탕한 바리톤 목소리는 우물 속 깊은 메아리처럼 길게 여운을 던진다. 최대호 안양시장의 시민 사랑은 ‘안전’에서 드러나고 ‘민생’에서 빛을 발한다. 작년 11월말 농산물도매시장이 폭설에 붕괴될 당시 시민 사상자 ‘제로’는 최 시장의 ‘신의 한 수’에서 나왔다. 재빠른 선제 대응은 ‘안전’의 교과서로 이젠 모든 지자체 단체장들에겐 규범이 됐다. ‘민생’은 도처에서 최 시장을 부르고 있다. 쌍둥이 낳은 집도 찾아가 격려해야 하고 도시개발사업은 매일 현장 출근하다시피 하고 장애인 시설도 찾아 애들을 안아주기도 한다. ‘안전’에 관한 한 그는 축구의 풀백이다. 어떤 실수도 허용하지 않으려 온몸을 던진다. ‘민생’에는 최전방 스트라이커다. 규제의 장벽과 민원의 태클을 뚫고 기어이 골을 넣는다. 그래서 그의 공약은 이렇게 ‘발’로 해결한다. 최 시장이 축구광이라는 건 시 청사에 나부끼는 깃발을 보면 안다. 태극기 옆에 안양시기(市旗)와 나란히 펄럭이는 시민구단 FC안양 깃발을 보라. 이런 시장을 ‘레전드’라 부른다. 장소 안양시장 접견실 대담 이영애 발행인 정리 엄정권 대기자 사진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