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극한 호우에 따른 침수 사고에 대비하기 위해 부산광역시 지하차도에 비상대피로 확보 사업이 추진된다. 전국 최초로 시도되는 사업이다.
부산시는 14일 부산시내 34개 지하차도 비상대피로 확보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2020년 초량 제1지하차도 침수사고, 올해 7월 오송 궁평2지하차도 침수 사고 등 최근들어 극한 호우로 지하차도 침수 사고가 반복되면서 인명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대응책으로 마련됐다.
지금까지 지하차도 침수 대피시설과 관련한 별도 규정이 없어 지하차도 침수에 대비해 비상대피로를 확보하는 사례는 없었다.
부산시는 지하차도를 전수 조사하고 현장을 확인해 검토하였으며 자치구 및 군, 부산시설공단과 협의해 비상대피로 설치 표준안을 마련했다.
표준안은 두 가지다. 하나는 기존 지하차도 내부에 설치돼 있는 비상 출입문과 연결통로를 활용해 비상대피로를 확보하는 방안이다.
나머지 하나는 비상사다리, 대피유도 핸드레일, 인명구조함, 비상유도표지판 등 '비상대피시설'을 새로 설치하는 방안이다. 이는 기존 시설을 활용한 대피로 확보가 어려운 경우에 쓰인다.
부산시 측에 따르면 이번 표준안을 토대로 자치구와 군, 부산시설공단과 협력해 시설물 위험도 평가 우선 순위에 따라 2024년부터 2026년까지 3년간 단계별 비상대피로를 확보해나가겠다는 계획이다.
박형준 부산광역시장은 "기상이변과 기록적 호우로 인해 해마다 침수사고가 되풀이되는 실정"이라며 "순식간에 지하차도에 고립되는 상황에 대비해 지하차도 비상대피로 확보 사업을 통해 시민의 생명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도록 도로의 안전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