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릴 적 소를 몰고 나무하러 오르던 산을 어른들은 '기배기재'라 불렸다. 어른들이 그리 부르니 그런 줄로만 알았다. 후에 임란사를 접하면서 그곳이 왜구의 침입을 막기 위해 쌓은 성이고, 임진왜란 배 울산의병의 주둔지이자 격전지인 기박산성인 것을 알았다.
젊은 의병들의 애국심과 기상이 남아 있는 곳. 지금 그곳에는 '旗嶺(기령)'이라 적힌 비석만 외로이 남아 의병의 넋을 달래고 있다.
울산 의병의 흔적-기박산성과 달현재
울산은 조선시대 왜란 당시 전쟁의 시작과 끝을 상징하는 중요 전투 지역이었다. 왜적에 항거해 나라를 지키는 데 공을 세운 선열도 많았 고, 그런 역사의 현장이나 지명도 일부 남아 있다.
울산과 경주의 경계에 위치한 기박산성은 신라시대에 축성했으며, 해발 590m의 함월산 삼태봉을 에워싼 1.8km의 석성이다. 경주시 양 남면의 동해안 일대와 남쪽의 울산만, 서쪽 모화리 일대를 동시에 관망할 수 있는 지형적 조건을 갖춘 곳으로 왜구를 방어하는 동해안의 전초기지라 할 수 있다.
기박산성은 울산 의병사에서 매우 중요한 장소다. 1592년 4월 23일 울산의 선비 7인이 기박산성에 제단을 설치해 의병의 출진을 하늘에 알렸다. 이후 기박산성은 울산 의병의 주둔지 역할을 했다. 기박산성 과 의병의 결진 과정은 의병장 이경연의 <제월당실기 霽月堂實紀>에 잘 나타나 있다.
기박산성과 함께 전투가 치열했던 곳이 또 하나 있다. 강동동 달골 과농소동 호계 사이에 있는 무룡산 고개 ‘달현재(달령재)’다. 의병장으로 활동한 송호 류정의 임란일기인 <송호유집松遺集>에 1592년 5 월 13일과 19일의 달현재 전투가 언급돼 있다.
임란 당시 울산에서 승전을 올린 주요 전투지로 기록돼 있지만, 지금 달현재에서 울산 의병의 흔적은 찾기 힘들다. 구청에서 세워 놓은 안내판이 이곳이 달현재임을 알려줄 뿐이다. 기박산성과 달현재는 그 역사성에 비해 역사적 사실이나 장소의 중요성이 잘 알려지지 않았고, 체계적인 연구 또한 뒤따르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기박산성 역사공원, 의병 탐방로 조성 등 차별화된 콘텐츠 발굴
울산은 지금까지 문화불모지라는 말을 수도 없이 들어왔다. 북구는 특히 더 그랬다. 각종 문화시설이 제 때 충족되지 않았고, 지역의 문화 자산에 대한 연구도 부족했다. 그래서 구청장 임기 동안 문화예술이 융성한 문화도시 북구 만들기를 주된 해결 과제로 삼았다.
북구에는 고급 문화자산이 산재한다. 앞서 언급한 기박산성과 달현재, 울산의병, 그리고 울산쇠부리, 달천철장 등은 어느 도시에도 뒤지지 않는 차별화된 역사 문화콘텐츠다. 이러한 고유의 문화자산을 재조명하고 시민에게 널리 알리는 일에 행정관청이 앞장서야 한다.
우선 울산 의병의 기상이 남아 있는 기박산성 일원에 역사공원을 만들었다. 현재 그곳에 충의교육관과 기념비 등 우리 선조의 업적을 기릴 수 있는 시설물을 설치하여 교육적 효과를 높이고자 하였다. 그리고 주변에는 이삭귀재 등 습지 식물이 자생하고 있는 돌티미늪도 자리하고 있어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생태교육도 병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게다가 기박산성, 달현재와 함께 왜란 때 최초로 승병이 봉기한 신 흥사를 아우르는 지역에 의병 탐방로를 개설하면 우리 선조들의 얼과 기상이 담긴 훌륭한 북구의 문화자산이 탄생할 것이다. 역사공원, 탐 방로 조성과 더불어 울산지역 의병사를 체계적으로 정립할 수 있는 연 구나 학술 심포지엄 등이 뒤따른다면 금상첨화다.
매년 4월 기박산성 의병추모제가 열리고 있지만, 의병 후손들이나 지역 주민 몇몇이 관심을 두는 데 그칠 뿐이다. 기박산성 역사공원 조 성과 탐방로 개설 사업 등으로 울산과 북구지역 의병사, 우리 선조들 의 업적이 재조명돼 후손들에게 널리 알려지길 기대한다.
문화도시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지역 문화자산을 지켜내려는 성숙한 시민의식과 냉철하고 지속적인 행정관청의 지원이 뒤따라야 한다.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고 했다. 우리 역사 문화자산을 제대 로 알고 다듬는 일, 또 이를 새로운 콘텐츠로 만들어 후세에 알리는 것이 우리에게 주어진 시대적 사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