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전국 최초 위성 영상 활용 '재난안전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선봬

 

경상북도가 안전한 도시를 구현하기 위해 재난안전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을 구축했다.

이번에 구축한 통합플랫폼은 위성 영상을 활용해 CCTV영상과 사물인터넷 등 여러 곳에 산재된 데이터를 한곳으로 모아 볼 수 있도록 한 점이 특징으로, 전국 최초다. 

 

경상북도는 8일 도청 안민관에서 재난안전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 2단계 구축 완료 보고회를 개최했다며 이와 같이 밝혔다. 

 

이번에 선보인 경상북도 재난안전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은 총 3개 기능으로 이루어졌다. 

먼저 경상북도와 23개 시군과 연계한 스마트 시티망을 통해 3만 2,000대의 CCTV 영상을 수집하는 광역 영상 허브기능이다. 다음으로 시군에 산재된 강수, 수위, 적설, 지진 데이터 센서를 표준화해 수집하는 재난센서 허브기능이다. 마지막으로 국토지리정보원과 연계된 재난 현장 위성, 항공 영상, 드론 영상의 재난서비스 허브기능이다. 

 

통합플랫폼에 담긴 각종 정보는 재난 예측과 재난상황의 실시간 정보 제공, 재난 복구, 조사 분석에 활용된다. 또 사건 현장 영상 지원과 수배차량의 추적, 119출동 영상지원 서비스, 전자발찌 위반자의 신속 검거 서비스등 범죄 예방에도 제공된다. 

 

경상북도는 완료보고회 앞서 이철우 경북지사와 최주원 경북경찰청장, 조우석 국토지리정보원장 등이 참석해 2023년 재난 분야 공간 정보 활용 확대 최초 시범 광역도로에 선정된 경상북도와 국토정보지리정보원, 경북경찰청 간의 재난·안전 분야 공간 정보 활용 확대 업무협약도 했다. 

 

경상북도는 이번 협약을 통해 재난 발생 시점에 해당 지역의 위성·항공 영상, 수치지형도와 인구·건물 통계와 같은 가공정보를 핫라인으로 받아 재난 상황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경북도는 이를 통해 신속하게 피해 규모를 산정할 수 있고 2차 재난 상황 관제 등 재난 분야에 공간 정보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철우 경북지사는 "업무협약을 통해 재난·안전 분야의 활용을 넘어 교통, 환경, 복지 등 전 분야에서 공간 정보를 활용하는 기폭제가 될 것"이라며 "재난안전 스마트시티 통합플랫폼은 도정 전반에 걸쳐 상호 연계와 협력의 구심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경주 APEC 성공 기원”… 김창준 등 전 미국 연방의원 7명 방문

경주시는 김창준 한미연구원과 미국 전직 연방의원협회(FMC) 소속 전직 의원들이 지난 18일 경주를 찾아 APEC 정상회의의 성공적 개최를 기원했다고 19일 밝혔다. 이번 방한은 김 연구원과 FMC의 네 번째 경주 방문으로, 매년 가장 한국적인 도시로 꼽히는 경주를 찾아 민간 외교 활동을 펼치고 있다. 김창준 한미연구원은 한국계 미국인으로는 처음으로 미 연방 하원의원을 지낸 김창준 전 의원(공화당·캘리포니아)이 이사장으로 있는 단체다. FMC는 전직 미국 연방의원들의 모임으로, 세계 각국의 정부·기업·단체와의 교류를 통해 글로벌 네트워크 확대를 도모하고 있으며, 김 전 의원 역시 FMC 소속이다. 이번 방문단에는 김 전 의원을 비롯해 △존 사베인스 전 하원의원(민주당·메릴랜드) △비키 하츨러 전 하원의원(공화당·미주리) △브랜다 로렌스 전 하원의원(민주당·미시간) △존 캣코 전 하원의원(공화당·뉴욕) △앤 마리 버클 전 하원의원(공화당·뉴욕) △콴자 홀 전 하원의원(민주당·조지아) 등 전직 의원 7명과 배우자 등 총 12명이 포함됐다. 이들은 경주시의 환영 만찬에 참석한 뒤 월정교와 동궁과 월지 등 경주의 주요 야경 명소를 둘러보며 신라 천년 고도의 역사와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