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뉴스

세대 간 장벽 허문 디지털 기술 교육

2023년 4월 현재, 우리는 첨단 기술(High Technology) 세계에 살고 있다.

 

최근 신세대 사이에서 크게 관심을 받는 챗GPT 부터 가상 세계 메타버스까지, 불과 10년 전만 해도 상상만 하던 세상이 현실에서 구현돼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경계가 희미해지고 있다.

 

‘MZ세대 이해하기’처럼 현실에 반영된 밈이나 숏폼 콘텐츠 등을 심심찮게 볼 수 있으며, 해가 갈수록 비약적으로 성장하는 IT 기술의 발전은 세대 차이를 크게 벌려놓았다.

 

MZ세대를 제외한 세대는 첨단 기술 시대에 적응하기가 쉬운 일이 아니다. 최근 들어 식당에서도 태블릿 PC나 스마트 키오스크로 음식을 주문하는 일이 일상이 되다 보니 IT 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자들은 식사하기조차 쉽지 않다.

 

이런 고령의 노인들에게 기기 사용법을 알려주어 세대 차를 극복한 훈훈한 사례가 소개돼 마음을 따뜻하게 해주고 있다.

 

애슈데일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이 요양원을 찾아 스마트 기기 사용을 어려워하는 어르신들에게 최신 기술을 알려주고, 휴대전화처럼 일상에서 사용하는 기기 사용법을 공유하는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학생들이 어르신들에게 스마트 기기 사용법을 알려주듯, 학생들은 어르신들에게 과거 기술이나 역사를 배우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현세대와 과거 세대 각자가 알고 있는 지식을 나누고 공유함으로써 우정을 나누고, 서로를 이해하는 계기가 되고 있다. 또 상호 간 지식을 배움으로써 활발히 상호작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학생들은 어르신들에게 셀카 찍는 방법을 알려주고 휴대전화로 사진 전송하는 법, SNS 계정을 만들어 멀리 떨어진 가족과 소통하고 소식을 공유하는 방법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하고 알려준다.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에이미 콜셰인 어르신은 한 인터뷰에서 “어린 친구들과 연결된 것 자체가 즐거웠고, 변화하는 세상을 배우고 새로운 지식을 접할 수 있게 해줘서 좋았다”고 밝혔다.

 

이 프로그램을 주최한 디지털 기술 교사 레이첼 파네이는 “이 프로그램이 어르신과 학생 모두에게 긍정적인 상호작용으로 기대를 만족시켰다”라며 “다른 학급이나 학교로 확장되면 좋은 가치 있는 프로그램”이라고 전했다.

 

애슈데일 고등학교의 사례는 나이라는 장벽을 허물고 세대 간 유대감 형성이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나이에 상관없이 누구에게든 배울 게 있고, 가르칠 수 있다는 선례를 보여준 이번 프로그램은 노인과 학생 간 세대 차이를 극복하고 상호 간 연결할 수 있는 커뮤니티를 만드는 계기가 됐다.

 

세대 차이를 이유로 큰 벽을 세우고 살아가는 현대 사회에서 함께 나누고, 융화할 수 있는 좋은 사례가 많아지기를 바란다.

배너

발행인의 글


힐링페스타 경주에서 몸과 마음 챙겨볼까?

몸과 마음의 면역을 키우는 '힐링페스타 경주'가 9월 23일(토)~24일(일)까지 이틀간 경주화백컨벤션센터 일원에서 펼쳐진다. 힐링페스타 경주는 경주시가 추진하는 사계축제의 하나로, △ 스페셜 힐링 △ 테라피 워크숍 △ 필라테스 요가 라이브 △ 야외 프로그램 등을 통해 시민들의 건강 회복을 돕는다. 축제 첫날 23일은 양재진 정신건강의학 전문의의 초청 강연이, 이시형 박사와 고도원의 힐링 토크 콘서트가 진행된다. 24일은 요가 지도자 원정혜 박사를 중심으로 김성철 교수, 배철현 박사, 김필영 교수, 강문호 박사 등이 요가 인사이트 프로그램을 이끌어나간다. 이틀간 체질분석, 뇌피로 진단과 같은 힐링 크리닉과 핸드팬·싱잉볼 테라피, 필라테스·요가 라이브, 힐링 인플루엔서 치유 호흡 프로그램도 진행된다. 천년의 광장에서는 개그우먼 김혜선과 함께하는 점핑 힐링을 비롯해 힐링 마켓, 아트 워크숍도 체험할 수 있다. 프로그램 중 양재진 박사의 힐링 초청 강연과 개그우먼 김혜선과 함께하는 점핑 힐링, 힐링진단, 힐링 아트 워크숍은 무료로 운영된다. 힐링페스타에 참여를 원하면 www.healingfesta.com 에 접속해 사전 신청·등록을 할 수 있다. 주낙영 경주시장은

세계 행복 보고서

전 세계는 글로벌 팬데믹의 영향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상승, 높아진 생활비, 주식 시장의 불확실성, 기후변화 문제, 경제적 혼란 등을 겪고 있다. 그런데도 최근 발표된 ‘세계 행복 보고서’는 이러한 불확실성과 어려움 속에서도 놀랄 만한 회복력을 보여주고 있다고 한다. 행복에 관련된 여러 요소를 기준으로 95개국의 국민 행복도를 순위별로 보았을 때 핀란드가 6년 연속 1위를 차지했고, 덴마크, 아이슬란드, 이스라엘, 네덜란드가 그 뒤를 이었다. 2023년 순위에서 특이점은 이스라엘이 2022년 9위에서 4위로 크게 상승했고, 스위스가 9위로 내려갔다는 것이다. 캐나다는 13위를, 아일랜드, 미국, 독일, 벨기에, 체코, 영국은 그 뒤를 이었고, 리투아니아는 20위에 올라섰다. 리투아니아는 2017년부터 30계단이나 상승했다는 점이 주목받았다. 이 보고서는 사람들 사이에 행복이 어떻게 불평등하게 분배되는지에 대한 추세를 자세히 살펴보고 인구의 상위 절반과 하위 절반 사이의 행복 격차를 조사하는데, 보고서의 편집자인 존 헬리웰은 “최근 3년 동안 국가별 행복도의 평균은 상당히 안정적이었다”고 말했다. 세계 행복 보고서에 따르면, 국가별 행복 수준을 파악하는 데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