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균형발전위원회 세종 시대 열었다

 

균형발전의 사령탑 국가균형발전위원회가 세종 시대를 활짝 열었다. 

 

3월 말 정부서울청사를 떠나 세종으로 이전한 국가균형발전위원회가 4월 4일 우동기 국가균형발전위원장과 최민호 세종시장, 최훈 행정안전부 지방자치균형실장, 황수성 산업통상자원부 산업기반실장, 문성요 국토교통부 국토도시실장, 조소연 정부청사관리본부장 등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어진동 KT&G 세종타워에서 국가균형발전위원회가 현판식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이번 이전은 작년 9월 27일 윤석열 대통령이 지방시대위원회 세종 설치를 약속한 데 따른 조치의 하나다. 

 

대통령 직속 자문기구 국가균형발전위원회의 세종시대 개막으로 균형발전의 새로운 구심점이 마련되고, 지방시대 완성을 위한 다양한 지역 균형발전정책 추진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우동기 위원장은 "국가균형발전위원회의 세종시 이전으로 윤석열 정부의 국정목표 중 하나인 대한민국 어디서나 살기 좋은 지방시대를 만들기 위한 구심점이 마련됐다"고 평가했다. 

또 우동기 위원장은 "앞으로 지역 주도의 균형발전과 지역자율적 혁신성장기반 강화를 위해 교육발전특구와 기획발전특구를 역점적으로 추진하며, 지역 맞춤형 창업·혁신생태계 조성도 차질 없이 진행해 지역과 주민들이 느끼는 정책 체감도를 높여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최민호 시장은 "국가균형발전위원회의 세종시대 개막에 따라 많은 국민이 염원했던 지방시대가 활짝 열리기를 기대한다"면서 "세종시도 지방시대 완성을 선도하기 위해 만반의 준비를 하겠다"고 말했다. 

 

정부는 자치분권과 균형발전의 상호 연계를 강화하고 지역 주도의 지방시대를 구현하기 위해 '지방자치분권 및 지역균형발전에 관한 특별법' 제정을 추진 중이다. 

 

이 특별법 제정으로 국가균형발전위원회는 기존 자치분권위원회와 통합해 지방시대위원회로 재탄생하게 된다. 

배너

발행인의 글


작업복 패션쇼... 팝업 스토어... 탐조 캠프... 갯벌이 달라졌어요

해양수산부(장관 강도형)는 오는 11월 갯벌 세계유산의 아름다움을 직접 체험할 수 있는 해양생태관광 프로그램을 고창과 서울 그리고 서천에서 운영한다고 밝혔다. 이번 해양생태관광 프로그램은 2021년 ‘한국의 갯벌’이 유네스코 세계자연유산으로 등재된 이후 해양자원, 지역주민, 관광객의 공존을 추구하는 지속가능한 생태관광을 육성하기 위해 마련됐다. 우선, 고창갯벌에서 오는 11월 5일 갯벌을 컨셉으로 한 ‘고창갯벌 워크웨어(작업복) 패션쇼’를 개최한다. 지역민 인터뷰, 갯벌의 염생식물 풍경에서 착안한 패턴을 활용하여 갯벌지역 어민, 생태해설사, 갯벌센터 근무자 등의 작업복을 디자인하였으며, 패션쇼의 전 과정과 고창갯벌의 풍경은 영상 콘텐츠로 제작하여, 고창갯벌의 가치와 아름다움을 전 국민에게 전달할 예정이다. 다음으로 갯벌 세계유산의 가치를 도심에서 체험할 수 있도록 서울 성수동에서 11월 14일부터 17일까지 팝업스토어를 4일간 운영한다. ‘시크릿 에이전트 : 숨겨진 유산의 비밀’을 주제로 참여자가 한국의 갯벌의 가치를 수호하는 비밀요원이 되어 테스트를 통과하는 컨셉으로 갯벌의 가치를 사격, 방탈출 등의 체험을 통해 재미있게 습득할 수 있도록 구성했다. 10월

가짜 AI 잡는 Al 나왔다

챗GPT 할루시네이션(hallucination) 오류 지녀 AI가 각종 의학 학술지에 실린 논문을 참조해 만든 논문이 의학 연구자마저 속일 정도로 정교해졌다. 이에 따라 한 학회에서는 “대규모 인공지능 언어 모델(LLM)을 이용한 논문 작성을 금지한다”고 밝혔다. 미국 노스웨스턴대 캐서린 가오 박사 연구진은 “챗GPT로 작성한 의학 논문 초록 50편이 표절 검사 프로그램을 100% 통과했고, 전문가들마저 제출된 초록의 32%를 걸러내지 못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한 바 있다. 챗GPT는 ‘진짜 같은 가짜 논문’을 만들어 낸다는 것이다. 챗GPT를 비롯한 언어모델은 자신이 잘 모르는 문제에도 그럴듯한 대답을 내놓는 오류, 즉 할루시네이션(hallucination)을 범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챗GPT 생성 가짜 의학논문 잡아내는 AI 개발 최근 챗GPT 등 생성형 인공지능(AI)을 이용해 만들어낸 가짜 의학논문을 최고 94%의 정확도로 판별할 수 있는 기계학습(machine learning) 알고리즘이 개발됐다. 뉴욕주립대 빙엄턴 캠퍼스 아메드 아브딘 하메드 박사팀은 지난 9월 4일 과학 저널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서 챗GPT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