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경포, 벚꽃에 물들다 '경포 벚꽃 축제'

4년 만에 야외 축제로 경포호 일원에서 4월 4일부터 9월까지 개최

 

봄이면 순백과 분홍빛으로 물드는 경포 호수는 겨우내 잠들었던 물빛과 하늘빛을 파랗게 바꿔놓는다. 바라보고만 있어도 가슴이 탁 트이는 느낌이다.

 

5.21㎞ 경포호를 빙 둘러싼 벚꽃 나무들과 노란 수선화, 개나리꽃이 이곳을 찾은 이들에게 환한 웃음을 선물한다.

 

매년 4월 경포호 일원에서 열리는 강릉의 대표 봄 축제, 강릉벚꽃축제가 4년의 침묵을 깨고 2023년 돌아왔다.

 

4월 4일부터 9일까지 경포대와 경포호를 중심으로 열리는 2023 경포 벚꽃 축제는 바다와 호수를 품은 경포에서 흐드러지게 핀 벚꽃을 감상할 수 있는 특별함을 안겨줄 것이다.

 

벚꽃이 둘러싼 호수를 돌며 황홀경에 빠져보고 다양한 문화예술 체험도 해보자.

지역 예술 단체와 강릉을 대표하는 여행 테마를 그린 일러스트, 청년작가들이 만든 벚꽃엽서, 벚꽃 그림으로 구성된 시화를 감상할 수 있다. 손 글씨로 동시를 꾹꾹 눌러쓰고 벚꽃엽서도 예쁘게 그려보자.

 

쿵덕쿵덕 떡메치기와 제기차기, 캘리그래피와 자수 놓기, 다도, 약선차 시음, 허브 아로마 테라피 같은 건강 콘텐츠도 즐겨보자.

 

주말인 4월 8일과 9일 이틀간 경포 습지광장에서 열리는 ‘벚꽃 운동회’도 참가해 가족과 잊지 못할 추억도 만들어보자.

 

경포사거리부터 4.6㎞ 구간에 설치된 야간 조명등은 밤의 경포호를 더욱 아름답게 빛내줄 것이다. 낮에는 화사한 벚나무 아래를 거닐고, 밤에는 별처럼 빛나는 조명 아래를 산책해보자. 낮과는 다른 밤의 무드를 즐길 수 있다.

 

 

인생샷도 건져보자. 결국 남는 건 사진이다. 축제장 곳곳에서 만나는 포토존을 활용해 아름다운 경포호를 배경으로 사진도 찍어보자. 사진을 SNS에 올리면 즉석에서 인화해주는 이벤트에도 참여해볼 수 있다.

경포벚꽃축제 일정은 개화 시기에 따라 변동될 수 있으니 축제장을 찾기 전 강릉시 공식 누리집 내지 공식 SNS 계정을 확인할 수 있다.

 

벚꽃 구경만 하기에 아쉬움이 있다면 인근 경포해변과 허균허난설헌 기념공원과 참소리축음기 에디슨박물관도 함께 둘러봐도 좋겠다.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박달스마트시티 본격 개발, 첨단 복합문화공간 탄생" [최대호 안양시장]

대춧빛 얼굴에 늘 웃음이 걸려 있고 좌중을 휘어잡는 호탕한 바리톤 목소리는 우물 속 깊은 메아리처럼 길게 여운을 던진다. 최대호 안양시장의 시민 사랑은 ‘안전’에서 드러나고 ‘민생’에서 빛을 발한다. 작년 11월말 농산물도매시장이 폭설에 붕괴될 당시 시민 사상자 ‘제로’는 최 시장의 ‘신의 한 수’에서 나왔다. 재빠른 선제 대응은 ‘안전’의 교과서로 이젠 모든 지자체 단체장들에겐 규범이 됐다. ‘민생’은 도처에서 최 시장을 부르고 있다. 쌍둥이 낳은 집도 찾아가 격려해야 하고 도시개발사업은 매일 현장 출근하다시피 하고 장애인 시설도 찾아 애들을 안아주기도 한다. ‘안전’에 관한 한 그는 축구의 풀백이다. 어떤 실수도 허용하지 않으려 온몸을 던진다. ‘민생’에는 최전방 스트라이커다. 규제의 장벽과 민원의 태클을 뚫고 기어이 골을 넣는다. 그래서 그의 공약은 이렇게 ‘발’로 해결한다. 최 시장이 축구광이라는 건 시 청사에 나부끼는 깃발을 보면 안다. 태극기 옆에 안양시기(市旗)와 나란히 펄럭이는 시민구단 FC안양 깃발을 보라. 이런 시장을 ‘레전드’라 부른다. 장소 안양시장 접견실 대담 이영애 발행인 정리 엄정권 대기자 사진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