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행정

각국의 대중교통 무료정책, 런던-평일 시간제한, 파리-소득 기준, 도쿄-70세 이상

해외 주요국 중 65세를 넘기면 무조건 지하철을 공짜로 타는 나라는 드물다. 
소득이나 이용 시간대에 따라 할인 혜택이 달라진다. 각국의 대중교통 무료 정책을 살펴본다.

 

영국 런던

런던에서 국영철도를 포함한 모든 대중교통이 무료 혹은 할인받는다.

 

만 66세에 발급 받는 시니어프리덤패스(Senior Freedom Pass)로 버스, 트램, 지하철, DLR(Docklands Light Railway, 경전철, 운전자없는 경전철포함), 지상전철인 London Overground and Elizabeth Line을 무료 이용한다. 단 시간 제한이 있다. 평일에는 오전 9시부터 저녁 11시까지만 이용한다. 주말과 은행 휴일에는 시간 제한이 없다. 장애인은 평일에도 시간 제한없이 이용한다. 런던의 국영철도는 주중에는 9시 30분부터, 주말과 공휴일에는 이용시간에 제한이 없다. 템즈강을 운행하는 보트, 수상버스와 페리를 이용할 때는 프리덤패스가 있더라도 표를 사야하고 50% 할인 혜택을 받는다.

 

 

국가연금수급연령(60세에서 66세로 점차 늘어남)에 도달한 여성과 등록장애인은 장미표시가 있는 시니어 교통카드를 발급받아 영국전역에서 무료로 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단 주중에는 오전 9시30분부터 저녁 11시까지만 이용할 수 있다. 18세 이상의 대학생은 오이스터 포토카드를 발급받아 30% 요금 할인을 받는다. 일정 자격을 갖춘 퇴역 군인과 유족도 오이스터 포토카드를 발급받아 대중교통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60세 이상은 프리덤패스를 발급받기 전까지 런던 오이스터 포토카드를 발급받아 대중교통을 무료 이용할 수 있다. 오이스터 카드는 처음 발급 시 20파운드(3만 1,600원)를 내고 이후 매년 10파운드(1만 5,800원)를 낸다.

 

 

런던 외에 맨체스터 같은 대도시도 런던과 유사한 무료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한다. 66세가 된 맨체스터 시민은 주중에는 9시30분부터 저녁 12시까지 주말, 공휴일에는 시간 제한없이 버스를 무료로 이용하고 10파운드를 내면 트램, 열차, 지하철까지 무료로 이용한다.

 

룩셈부르크

2020년 2월 29일부터 나이와 상관없이 누구나 모든 버스, 열차, 트램 등 대중교통을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룩셈부르크 국민은 물론 여행자도 무료 대상이다. 열차 1등석과 절기에 따라 특별운행 열차는 정해진 요금을 내야 한다. 프랑스의 국경 도시 루이스빌(Roussy-le-Village)과 룩셈부르크시를 오가는 국경통과 출퇴근자를 위한 무료 대중교통 서비스도 제공한다.

 

프랑스 파리

2018년 6월부터 월소득 2,200유로(306만 원) 미만인 65세 이상은 무료교통패스인 나비고(Navigo) 패스로 파리지역에서 지하철, 열차, 트램, 버스를 무료 이용할 수 있다. 18세 이하 학생도 2020년부터 대중교통을 무료로 이용한다.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다양한 할인혜택이 제공된다. 파리 주변 일 드 프랑스(Ile-de-France) 지역에서 62세 이상은 37.60 유로(5만 2,360원)를 내면 Navigo Annual Season Ticket이라는 교통패스를 받는데 이것은 일반적인 Navigo Monthly 가격에서 50%를 할인한 것과 같다. 파리에서 3년 이상 살고 월수입이 2,028 유로(282만 원) 미만이면 Ile-de-France 지역에서 대중교통을 무료로 이용하는 Pass Paris Senior Access 패스를 발급받는다. 60세~65세로 일을 할 수 없다는 것을 증명하는 사람도 이 카드를 받을 수 있다.

 

60세 이상으로 회원에 가입한 사람은 프리미엄 테제배 열차인 테제베 이누이(TGV Inoui), 엥떼르씨테(Intercites) 열차 혹은 야간열차를 최소 3개월 이상의 정기권을 구입하면 한 달에 79 유로(11만 원)에 이용할 수 있다.

 

60세 이상을 대상으로 한 어드반티즈 시니어 카드(Avantage Senior card)는 연간 49유로를 내고 요금의 30%를 할인받는다. 4세~11세의 동반자녀 최대 3명에 대해 60% 요금을 할인한다. 이 카드 소지자는 여행시간이 1시간 30분 미만이면 요금이 39유로, 1시간 30분에서 3시간 까지의 중거리 여행은 59유로, 3시간 이상 장거리는 79 유로 이내로 요금이 제한되는 추가 혜택을 받는다.

 

 

65세 이상은 연간 49유로(6만 8,234원)를 내면 프랑스와 유럽의 다른 도시, 일부 북아프리카와 서아시아 도시 항공 여행 요금을 최대 30% 할인받는다.

 

일본 도쿄

‘실버패스’로 도쿄도 교통국이 운영하는 도영 버스·지하철을 연간 무제한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민간철도인 도쿄메트로는 이 패스로 탈 수 없다. 2000년부터는 1년 단위로 발급되는 실버패스를 가구 소득에 따라 유상으로 교부한다. 주민세를 내지 않는 70세 이상 저소득 고령자는 1,000엔 (약 1만 원)을 내면 실버패스가 제공된다. 주민세를 납부하는 70세 이상은 1년에 2만 510엔(약 20만 원) 가량을 납부한다.

 

오사카는 노인 대상으로 2012년까지 이용 한도 없이 시영버스와 지하철을 이용할 수 있는 승차권을 무상으로 교부했으나 2014년부터는 경로패스 갱신 때 3,000엔(약 3만 원)을 부담하고, 이용 횟수에 따라 추가 비용을 지불하는 것으로 제도가 바뀌었다.

 

독일

65세 이상 고령자를 위한 철도카드(BahnCard)는 25% 혹은 50% 할인 혜택을 준다. 유효기간 1년이고 최하 38.90 유로, 취소하지 않으면 자동 연장된다.

 

BahnCard 25 1등석이용 77.90 유로(10만 8,442원), 2등석 이용 38.90 유로(5만 4,151원) (할인율 정상가의 25%)

BahnCard 50 1등석 이용 241유로(33만 548원), 2등석 이용 122 유로(16만 9,832원)(할인율 50%)

BahnCard 100 표 살 필요없이 자유롭게 여행, 유효기간 1년 카드 최하 4,339 유로(604만 원)

 

이용가능 교통수단 ICE, IC/EC, :OBB Nightjet, 지방열차(IRE, RE, RB, S-Bahn), 민간 버스, 철도 등이다.

 

 

미국 뉴욕시

65세 이상 노인, 장애인은 지하철, 버스 요금 50% 할인 받는다. 정상가 2.75달러(3,590원)의 절반 1.35달러(1,762원)이다. 미국의 주(州)들은 대부분 65세 이상 모든 노인을 대상으로 교통요금 할인제도를 실시하고 있다. 철도는 가장 비싼 시간대 요금의 50%를 할인해준다. 뉴저지에서는 지하철 요금을 30%만 할인해준다.

인구 300만의 코넷티컷시는 지난 해 4월부터 모든 버스요금을 무료화했으며 의회의 승인을 받아 무료 정책을 올해 3월 말까지 연장했다.

 

에스토니아 탈린

에스토니아 수도 탈린은 2013년 전 세계에서 수도로는 처음으로 대중교통을 무료화했다. 이 정책은 2008년 재정 위기 후 어려움에 처한 저소득 시민을 돕기 위해 도입했다. 탈린의 무료 대중교통정책은 2012년 시민투표에 의해 결정됐다. 무료화에 따른 비용은 소득세수로 충당된다. 탈린 주민에게만 무료이고 여행자와 방문자는 표준 요금을 내야한다. 에스토니아에서 탈린 외에 15개 지역 중 11개 지역이 버스 이용을 무료화했다.

 

오스트리아 비엔나

비엔나는 하루에 1유로(1,391원)하는 교통패스가 있다. 하루에 3유로(4,175원)를 내면 일년 동안 오스트리아 전역에서 대중교통을 무료 이용하는 여행패스도 있다.

배너

발행인의 글


6기 지방행정의 달인, 이대형 경기도농업기술원 연구사 '술자리보다 재미있는 우리 술 이야기' 발간

경기도농업기술원에서 전통주 연구 업무를 담당하는 이대형 연구사가 전통주 인문학책 『술자리보다 재미있는 우리 술 이야기』를 출간했다. 경기도농업기술원은 2008년도부터 경기 농산물 소비 확대와 부가가치 향상을 위해 다양한 전통주 연구를 진행해 왔다. 경기 쌀과 지역특산 농산물을 이용한 전통주(막걸리, 약주, 증류식 소주 등) 개발 기술을 20여 업체에 이전했다. 특히 이대형 연구사가 민간기업에 이전한 산양삼 막걸리는 2017년 우리술품평회에서 대통령상을 수상했다. 역시 이 연구사가 개발한 벌꿀을 이용한 허니와인은 우리술품평회에서 대상과 최우수상을 여러 차례 받았으며 2022년 대통령취임식 건배주로도 사용됐다. 최근에는 경기도농업기술원이 개발한 신종 벼 품종인 참드림쌀을 51% 사용한 쌀 맥주 ‘미미사워’가 일본 맥주 대회에서 대상을 받기도 했다. 이대형 연구사는 전통주 연구 과정에서 느낀 점과 전통주에 대한 바른 정보를 알리고 싶어 다양한 언론 매체에 전통주 칼럼을 연재하는 작가이기도 하다. 이 책은 우리 술 전문가 이대형 연구사의 전통주에 대한 시대별 역사와 문화를 망라한 우리 술에 대한 고찰이 담겨있다. 책은 우리의 조상들이 막걸리와 소주만이 아닌 서양의

세대 간 장벽 허문 디지털 기술 교육

2023년 4월 현재, 우리는 첨단 기술(High Technology) 세계에 살고 있다. 최근 신세대 사이에서 크게 관심을 받는 챗GPT 부터 가상 세계 메타버스까지, 불과 10년 전만 해도 상상만 하던 세상이 현실에서 구현돼 온라인과 오프라인의 경계가 희미해지고 있다. ‘MZ세대 이해하기’처럼 현실에 반영된 밈이나 숏폼 콘텐츠 등을 심심찮게 볼 수 있으며, 해가 갈수록 비약적으로 성장하는 IT 기술의 발전은 세대 차이를 크게 벌려놓았다. MZ세대를 제외한 세대는 첨단 기술 시대에 적응하기가 쉬운 일이 아니다. 최근 들어 식당에서도 태블릿 PC나 스마트 키오스크로 음식을 주문하는 일이 일상이 되다 보니 IT 기기에 익숙하지 않은 고령자들은 식사하기조차 쉽지 않다. 이런 고령의 노인들에게 기기 사용법을 알려주어 세대 차를 극복한 훈훈한 사례가 소개돼 마음을 따뜻하게 해주고 있다. 애슈데일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이 요양원을 찾아 스마트 기기 사용을 어려워하는 어르신들에게 최신 기술을 알려주고, 휴대전화처럼 일상에서 사용하는 기기 사용법을 공유하는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학생들이 어르신들에게 스마트 기기 사용법을 알려주듯, 학생들은 어르신들에게 과거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