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산의 가야산이 알프스로? 드넓은 초원 웰빙 산책로 조성된다

2023년 5월 준공 예정, 10년 노력의 결실
주변 문화 유적과 연계 관광 성지로 발돋움할 터

서산 가야산 기슭이 '서산의 알프스'로 변신한다. 

 

 

서산시는 23일, 운산면 용현리 산 8-60번지 일원 서산한우목장에 2023년까지 52억 원을 들여 2㎞ 웰빙산책로를 조성 중이라고 밝혔다. 

 

초지가 넓게 펼쳐진 서산한우목장은 서산9경의 하나로, 봄부터 겨울까지 사계절 색다른 풍광을 자아내는 서산의 명소다. 서산한우목장 인근에는 '백제의 미소'로 불리는 서산마애삼존불과 천년 고찰 '개심사', 서산 해미읍성, 천주교 해미국제성지 등 세계인이 찾을 법한 관광 자원도 많다. 

 

산책로는 초원 위 1.6㎞ 데크길과 목장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전망대와 포토존이 들어선다. 

 

산책로 입구에는 107대를 수용할 수 있는 주차장과 화장실 등 편의시설도 갖춘다. 

 

웰빙산책로 조성 사업은 2013년부터 이어온 사업으로, 민선8기 공약사항에 포함돼 10년 만에 본격적으로 시작한다고 서산시가 밝혔다. 

 

2013년부터 농림축산식품부와 각종 검토 및 협의를 이어온 서산시는 23일 농림축산식품부의 적극행정으로 국유지 사용 승인을 받아 본격적으로 사업에 착수하게 된 것이다. 

 

서산시에 따르면 산책로 조성 시 연간 86억 원의 경제적 파급효과와 3,000여 명의 고용효과를 유발할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산책로 명칭은 다양한 의견을 수렴해 선정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서산한우목장은 가축병 차단 등을 이유로 그간 출입을 금한 곳으로, 산책로 조성에 따라 초원을 입장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시는 가축전염병 방지와 초지 보호 차원에서 관광객의 토지 접촉 제한 시설과 차량 및 개인 소독시설도 갖추기로 했다. 

 

이완섭 서산시장은 "10년 노력 끝에 사업을 추진하게 됐다"라며 "차질 없이 추진해 서산을 알리고 알프스처럼 세계가 찾는 명소로 발돋움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서산시는 사업 추진까지 성일종 국회의원의 도움이 컸던 만큼, 최종적으로 조성되는 날까지 협력해나갈 것으로 보인다.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속초 배경 영화 ‘속초에서의 겨울’ 전주국제영화제 전석 매진

속초시를 배경으로 하는 영화 ‘속초에서의 겨울’이 제26회 전주국제영화제를 통해 국내 팬들에게 첫선을 보인 가운데, 예매 오픈 직후 2일, 3일, 7일 3회의 모든 회차가 전석 매진되며 뜨거운 관심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속초에서의 겨울은 스위스 작가 엘리자 수아 뒤사팽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 작품으로, 속초의 작은 펜션에서 일하는 청년 수하가 프랑스 작가 얀 케렁을 만나며 겪는 내면적 갈등과 정체성 탐구를 담았다. 차분한 겨울의 속초 풍경을 배경으로 섬세한 감성과 인물의 심리를 미장센으로 녹여내며 해외의 다수 매체로부터 ‘2025년 주목해야 할 프랑스 영화’, ‘추운 속초 겨울을 배경으로 고립된 두 사람의 이야기를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감탄이 나올 만큼 신비롭다’ 등의 호평을 받았다. 영화의 원작 소설 ‘속초에서의 겨울’은 출판 이후 작가가 2016년 속초에서 북콘서트를 개최해 속초시민에게는 익숙한 작품으로 기억되고 있다. 영화화가 결정된 이후 속초시에서는 영화제작 초기부터 다양한 행정적 지원을 이어왔다. 영화제 기간동안 속초시 관계자들은 직접 전주 현장을 방문해 제작사, 배급사 등과 간담회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는 영화 흥행에 대한 축하와 함께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