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행정

쓰레기 제로도시 지향 뮌헨, 100개 대책 추진

독일 남부의 대도시 뮌헨(인구 149만)은 ‘쓰레기 제로(zero-waste)’ 도시를 지향한다. 쓰레기 제로 도시는 버려진 쓰레기 중에서 가치가 있는 것을 재활용해 가능한 한 잔여 쓰레기양을 줄이는 도시를 말한다.

 

 

디터 라이터 시장과 뮌헨 폐기물 공사 대표이자 시 공무원인 크리스티나 프랑크는 뮌헨의 쓰레기 제로 전략을 세우고 이를 실천할 100가지 대책을 수립했다. 

 

“낭비를 피하십시오. 쓰레기가 있는 경우 재활용할 수 있도록 별도로 폐기하십시오.” 이 원칙은 디터 라이터 시장이 시민에게 제시한 뮌헨의 쓰레기 제로 전략의 기초이다. 실천 대책에는 개인뿐 아니라 기업, 건설 부문, 학교 및 시 행정부가 쓰레기와 자원 낭비를 줄이는 조치, 구체적인 쓰레기 감축 방법, 잘못된 쓰레기 배출 방지 홍보, 음식물쓰레기 감축 노력 등이 포함돼 있다.

 

또 뮌헨 시청사에 있는 중고 백화점을 확장해 이곳에서 중고 가구 판매 및 전자제품을 수리하면 보너스를 지급한다. 식기류를 재활용하는 식당과 소매점에 대해서는 500유로(66만 원)를 지급한다. 폐기물 분리배출에 대한 다국어 정보 확대, 재활용품 무역을 위한 순환경제센터 상담, 건축자재 도서관 건립, 건축폐기물 수거와 재활용 제고 방안, 재활용품 입찰 확대 등을 포함한 실천대책은 일상생활 모든 부분에 걸쳐 있다.

 

 

포장폐기물 노란 통에 별도 배출 시범사업

이 밖에 포장폐기물을 노란 쓰레기통에 배출하는 시범사업을 2024년에 실시하고 비포장 상품 시장을 매주 운영하며, 식탁용기 재활용 행사를 개최한다.

 

100개의 실천대책은 기후변화, 환경, 에너지 연구기관인 부버탈 연구소, 뮌헨재활공화국 협회, 뮌헨 시민들과의 협의와 워크숍 등을 통해 도출된 400개 방안 중에서 최종 선정된 것들이다.

 

디터 라이터 시장은 “단 3년 만에 내 아이디어가 실현된 것이 정말 인상적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2019년 부퍼탈 연구소에 뮌헨의 미래를 위한 폐기물 제로 개념을 개발하도록 위임했다.

 

 

MERKUR.DE에 따르면 뮌헨은 독일의 다른 도시들과 비교해 쓰레기를 더 많이 배출한다. 연간 배출량이 72만 톤이고 이 중 가정 배출량이 43%이다. 시는 2019년 쓰레기 감축 대책 수립에 나섰고 제로웨이스트 개념을 수립해 폐기물관리공사에 실천 방안을 만들도록 했다. 이렇게 해서 100가지의 실천대책이 만들어졌고, 앞으로 5년간 뮌헨시는 180만 유로(23억 9,311만 원)를 투입할 계획이다.

 

모든 가정 쓰레기를 연간 1인당 15%, 2019년 366㎏에서 2035년에는 310㎏으로 줄이는 것이 주된 목표이다. 총 8만 5,000톤의 폐기물을 줄이는 이 목표를 달성하려면 소각로에서 태우는 쓰레기양을 앞으로 13년 동안 2019년 196㎏에서 127㎏로 35%를 감축해야 한다. 유기폐기물을 따로 수거해 퇴비화하는 사업도 한 가지 방법이다.

 

 

시의회는 최근 만장일치로 이 같은 쓰레기 배출 제로 전략을 승인했다. 의회 토론 과정에서 쓰레기 배출 제로라는 말에 대해 논란이 있었다. 배출 제로는 사실 완전한 배출량 제로를 의미하는 게 아니고 재활용할 수 있는 것을 버리지 않고 재활용해 자원의 낭비를 줄인다는 것이 정확한 의미다.

 

녹색당 의원들은 유기폐기물 감축과 전자제품 폐기물 수거 목표가 너무 낮게 설정됐다고 비판했다. 뮌헨시의 버려진 전자제품 수거량은 1인당 연간 5㎏로 전국 평균의 절반 밖에 안 되고 유기폐기물 수거가 다른 도시에 비해 30㎏이 적다고 지적했다. 또한 버려진 폐기물의 재활용률을 더 높여야 한다.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원주시에 국내 최초 ‘엔비디아 인증 교육센터’ 세운다

원주시는 5월 20일 대만 엔비디아(NVIDIA)에서 엔비디아 미국·대만, 대만 국립과학기술대학교, 에이수스ASUS, 아이스테이징iStaging, 루이비통LOUISVUITTON 등 글로벌 기술 선도기관과 함께 공동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 자리에서 시는 인공지능(AI) 디지털산업 글로벌 기반 조성 및 대한민국 최초의 ‘엔비디아 인증 교육센터’ 설립 계획을 공식 발표했다. 이번 협력은 원주시가 추진하고 있는 AI·반도체·디지털트윈·디지털 헬스케어 중심 미래산업 육성 전략의 일환이며, 국제적 기술협력 체계를 기반으로 한 ‘산·학·연·관 융합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엔비디아와의 협력을 통해 조성되는 교육센터는 옴니버스 기반 실습 과정 운영 및 공식 라이선스 발급이 가능한 국내 최초의 전문교육기관이며, 향후 AI·반도체·디지털트윈 산업현장에 즉시 투입 가능한 고급 기술 인재 양성 및 글로벌 취업연계 플랫폼으로 기능하게 된다. 이번 교육센터는 엔비디아 옴니버스 정식 인증을 기반으로 설립되며, 향후 디지털헬스케어, 로보틱스, 반도체, 제조 등 다양한 산업군에 특화된 실습형 교육과정을 운영하게 된다. 또한 글로벌 기술 파트너들과의 협력을 통해 R&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