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스는 국가 차원에서 이산화탄소세(Carbon Levy)를 도입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거둬들인 수익 중 약 ⅔를 모든 국민에게 균등하게 환급하는 기후배당제(Carbon Dividend)를 운영하고 있다. 이 제도는 기후변화 대응의 재정적 부담을 사회 전체에 공평하게 분담하고, 저소득층에는 실질적으로 혜택이 돌아가도록 설계되어 있다. 취리히주는 이러한 중앙 제도 위에 독자적인 ‘기후예산(Climate Budget)’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이 구조는 지방정부가 예산을 편성할 때 연간 온실가스 허용 총량을 설정하고, 이를 초과하는 행정활동이나 사업에 대해 재정적 보완조치를 취하도록 하는 것이다. 초과 배출량에 대해서는 해당 부서에 ‘탄소 벌금’을 부과하거나, 시민기후배당을 통해 지역주민에게 보상하는 방식이다. 2021년 기준, 스위스 전체 탄소세 수익은 약 12억 스위스프랑(약 1.8조 원) 규모이며, 개인에게는 1인당 평균 CHF 92(약 14만 원), 기업에는 에너지 효율 관련 보조금 형태로 분배되었다. 취리히는 이 환급 구조에 더해, 시민평의회(Bürgerrat)를 통해 탄소배당 구조에 대한 자문과 피드백을 수렴하고 있으며, 일부 시는 환급금 일부를 저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BC)주는 시민이 직접 법률이나 조례를 발의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을 갖춘 세계적 사례로, 1995년 제정된 ‘Recall and Initiative Act’를 통해 법적으로 명문화되어 있다. 이 제도는 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일반 시민도 입법 과정에 실질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 가장 핵심적인 요건은 서명 요건으로, 주 전역의 87개 선거구 각각에서 등록 유권자의 최소 10% 이상이 서명해야 조례 발의가 공식 검토 절차에 들어간다. 이는 절대 숫자로만 보면 약 32만 명 이상의 동의를 필요로 하는 고강도 기준이며, 단 한 지역이 기준 미달이면 전체가 무효 처리된다. 이처럼 높은 진입장벽에도 불구하고, 2010년 ‘조화세(HST: Harmonized Sales Tax)’ 폐지 발의는 서명 요건을 충족시켜 실제 주민투표를 이끌어낸 성공적 사례로 남아 있다. 해당 발의에는 총 705,643명의 서명이 모였으며, 주민투표에는 52%의 투표율 속에 54.73%가 폐지에 찬성하였다. 이에 따라 2013년 HST는 공식 철회되었고, 원래의 지방소비세 구조로 환원되었다. 이는 시민 주도의 입법 운동이 실제 제도 변화를 이끌어 낸 보기 드문
일본 열도 중부에 자리잡아 내륙으로 둘러싸인 내륙현인 기후현은 오랜 지역의 역사만큼이나 유서 깊은 전통축제가 관광객들을 불러 모으고 있다. 기후현은 산림, 강, 온천 등 자연 유산과 어우러진 다양한 유적으로 유명하며, 특히 일본 전통 건축 양식을 그대로 간직한 ‘시라카와고’ (白川郷)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어 있다. 기후현 축제는 봄부터 가을까지 열리는 축제는 일본 고유의 특징과 매력을 가지고 있어 여행 시기에 맞춰 방문하면 특별한 경험을 할 수 있다. 高山祭(다카야마 마츠리) 일본 3대 아름다운 축제 중 하나로, 봄(4월 14, 15일)과 가을(10월 9, 10일)에 고산시에서 개최된다. 정교하게 장식된 야타이(山車, 수레)가 거리 행진을 하며, 일부 수레에서는 전통 인형극인 가라쿠리(からくり)가 공연된다. 古川祭(후루카와 마츠리) 매년 4월 19~20일에 히다시 후루카와 지역에서 열리는 축제이다. 장엄한 야타이 행렬과 함께, 남성들이 큰 북을 메고 퍼포먼스를 펼치는 ‘오코시다이코(起し太鼓)’가 유명하다. 郡上おどり(구조 오도리) 7월 중순부터 9월 초까지 구조시에서 열리는 본오도리 축제이다. 400년의 역사를 자랑하며 약 30일간 이어지는 이 축제는 참
스페인 최대 관광도시 바르셀로나는 오버투어리즘(과잉관광)에 따른 도시 과밀화와 주거비 상승 등 여파로 시 당국은 골머리를 앓고 있다. 바르셀로나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는데 그중 하나가 바로 ‘관광세’이다. 이 세금은 관광객에게 부과되며, 도시의 지속 가능성과 주민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재원으로 활용된다. 관광세의 구조와 부과 방식 바르셀로나의 관광세는 크게 두 가지로 구성된다. 1. 카탈루냐 자치정부 부과 세금 (IEET): 2012년부터 시행된 이 세금은 숙박 시설의 등급에 따라 부과되며, 수익은 자치정부와 시정부가 공유 2. 바르셀로나 시정부 부과 추가세: 시정부는 IEET에 추가로 자체 세금을 부과하며, 이 수익은 전액 시정부가 관리 2025년 10월부터는 세금이 인상되어, 5성급 호텔의 경우 하루 최대 15유로까지 부과될 예정이다. 이는 관광객의 숙박 유형과 기간에 따라 달라지는데 예를 들어, 4성급 호텔은 11.40유로, 관광용 아파트는 12.50유로가 부과된다. 관광세 수익과 활용 방안 바르셀로나 시정부는 2024년 관광세 수익이 약 1억 1,500만 유로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 수익은 시정부의 세 번
호주 공정노동위원회(Fair Work Commission, FWC)는 여성 근로자들이 다수를 차지하는 직종에 대해 최대 35%의 임금 인상을 권고했다. 이 조치는 약 50만 명의 근로자에게 영향을 미치며, 특히 유아교육, 사회복지, 보건 및 약사 등 전통적으로 여성 비율이 높은 직군이 대상이다. 4월 발표되 이 권고는 단순한 임금 조정이 아닌 성평등 실현을 위한 역사적 전환점으로 평가되고 있다. 호주는 OECD 국가 중에서도 성별 임금 격차가 비교적 적은 국가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나, 여성 중심 직종에서의 ‘구조적 저평가’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었다. 2023년 기준, 호주의 성별 임금 격차는 13.3%였으며, 이는 여성들이 남성과 같은 일을 하더라도 연간 약 13,200 호주 달러(약 1,170만 원) 적은 수입을 가져간다는 의미다. FWC는 이러한 구조적 격차가 여성 다수가 종사하는 돌봄·복지 직종의 사회적 가치가 임금에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보고, 성중립적 평가 대신 ‘성인지적 가치 평가’를 적용한 최초의 판결을 내렸다. 여성 중심 산업의 임금 인상 배경 이번 결정은 2022년 알바니지(Albanese) 정부가 도입한 ‘공정노동법(Fair
2025년 4월, 호주 퀸즐랜드 주정부는 10세 이상의 청소년에게 성인과 동일한 형벌을 적용하는 법안을 시행하며, ‘성인 범죄, 성인 형벌(Adult Crime, Adult Time)’ 정책을 본격화했다. 이는 청소년 범죄에 대한 강경 대응 방침으로 평가되며 호주 내에서도 극명한 찬반 여론을 불러왔다. 국제사회와 인권 단체는 이 정책이 유엔 아동권리협약(CRC)에 반한다고 경고하고 있다. 이번 개정은 2024년 12월 통과된 ‘퀸즐랜드 안전 강화법(Making Queensland Safer Act 2024)’의 연장선으로, 기존 13개 중범죄에 더해 2025년 4월 1일부터 20개 범죄가 추가되었다. 적용 대상 범죄에는 살인, 강간, 중상해, 무장강도 등이 포함되며, 특히 살인의 경우 20년 이상 무기징역이 의무화된다. 또한, 법원은 더 이상 ‘청소년 구금은 최후의 수단’이라는 원칙을 고려하지 않으며, 피해자 중심의 판결을 우선시한다. 피해자는 가해자의 구금 상태와 석방 일정 등을 통보 받을 수 있는 ‘피해자 등록제(Victim Eligible Persons Register)’에 자동 등록된다. 호주는 지난 몇 년간 청소년 범죄율이 사회 문제로 부각되며, 특
2025년 캐나다는 개인 데이터 보호를 강화하는 새로운 법안을 시행하여 기업의 데이터 처리 투명성을 높이고 개인의 프라이버시 권리를 보호하는 중요한 조치를 취했다. 이러한 변화는 글로벌 디지털 환경에서 개인정보 보호의 중요성이 증대되는 추세에 맞춘 것이다. 캐나다 개인정보 보호 법제의 발전과 새로운 법안의 도입 캐나다는 공공 부문과 민간 부문을 각각 규율하는 개인정보 보호 법제를 따로 운영해 왔다. 공공 부문에는 '프라이버시법(Privacy Act)'이 적용되며, 민간 부문에는 ‘개인정보 보호 및 전자문서법(PIPEDA: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nd Electronic Documents Act)’이 적용되었다. PIPEDA는 2001년부터 2004년까지 3단계에 걸쳐 시행되었으며, 연방 규제를 받는 민간 부문(통신, 방송, 은행 등)과 주(州) 간 운송 및 항공 분야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러나 디지털 환경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면서, 기존 법률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새로운 법안이 도입되었다. 이 새로운 법안은 기업이 사용자 데이터 처리에 대한 투명성을 높이고, 개인의 프라 이버시 권리를 강화
21세기 들어 해양 생태계는 심각한 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국제연합식량농업기구 (FAO)에 따르면, 전 세계 어류 자원의 34.2%가 남획 상태에 있으며, 지속가능한 수준 에서 조업이 이루어지는 어족은 65.8%에 불과하다. 이는 1974년 90% 이상의 어류 자 원이 지속가능한 수준에 있던 것과 비교하면 현저한 감소를 보인다. 남획 문제는 해양 생태계 뿐만 아니라 세계 경제와 식량 안보에도 큰 위협이 된다. 이에 따라 국제사회는 지속가능한 어업 관행을 촉진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규제를 도입하고 있다. 국제사회는 지속가능한 어업을 위해 여러 기구와 협약을 통해 정책을 마련하고 있다. 해양관리협의회(MSC: Marine Stewardship Council) MSC는 1997년 세계자연기금(WWF)과 다국적 기업 유니레버(Unilever)의 협력으로 설립된 비영리 단체로, 지속가능한 어업을 위한 인증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MSC 인증을 받은 어업은 과학적 기준에 따라 지속가능성을 평 가받고, 소비자들은 인증된 해산물을 선택함으로써 해양 보호에 기여할 수 있다. 2025년 현재, MSC 인증을 받은 어업은 전 세계적으로500개 이상이며, MSC 인증 제품은
담배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심각한 공중보건 문제 중 하나이다. 흡연은 폐암, 심혈관 질환, 호흡기 질환 등 다양한 질병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의료비 증가와 생산성 감소 등 경제적 비용을 초래한다. 공중보건 측면에서 흡연은 주요 사망 원인 중 하나로, 폐암 및 심혈관 질환을 유발한다. 또한 저소득층 가정은 흡연으로 인한 의료비 부담이 가중되어 빈곤의 악순환에 빠지는 경우가 많다. 세계보건기구(WHO)와 전문가들은 담배 소비를 줄이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로 담배세 인상을 제시하고 있다. 현황: 중남미 및 카리브해 지역의 흡연율과 공중보건 문제 흡연에 대한 문제가 가장 심각한 나라 중 하나인 중남미 및 카리브해 지역을 예로 들자면, 이곳 지역의 일부 국가는 비교적 낮은 담배 세율로 인해 흡연 억제에 한계를 보이고 있는데, 이 지역의 흡연율은 글로벌 평균보다 높으며, 특히 젊은 층과 저소득층에서 흡연율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2022년 WHO 보고서에 따르면, 중남미와 카리브해 지역의 담배 소비로 인해 매년 약 100만 명이 사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약 500억 달러에 달한다고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남미
현대 사회에서 데이터는 단순한 정보의 집합을 넘어, 사회를 이해하고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자산으로 자리잡고 있다. 대용량의 데이터를 분석하는 빅데이터 접근법이 이제 지역 시민의 요구를 파악하고 선거 결과를 예측하는 데 어떻게 활용될 수 있을까? 참조 연구: 대학생 경험 분석을 통한 빅데이터 활용 최원경 박사(Wonkyung Choi)의 연구(Understanding the University Student Experiences Through Big Data Analytics., 2024)에서는 최초로 대학생 경험의 복잡한 요소를 이해하기 위해 빅데이터 분석 방법론이 활용됐다. 연구팀은 RateMyProfessor.com에 게시된 975,860개의 학생 리뷰를 분석하며, 학생들이 긍정적 및 부정적 경험을 가지는 이유를 감성 분석, 자연어 처리(NLP), 카테고리 분류를 통해 파악했다. 현재까지 대학 또는 교육분야에서 적용되는 전통적인 설문조사가 표본 크기의 한계와 응답자의 대표성 부족으로 인해 겪는 문제를 빅데이터 접근법으로 극복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줬다는 점이 이 연구의 주요 성과다. 또한, 데이터의 크기, 생성 속도, 그리고 다양한 소스 통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