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분류

“문화는 힘이다” 교육 취약계층을 위한 독일의 문화 교육

 

undefined

 

​독일 연방교육부(BMBF)는 ‘문화는 힘이다(Kultur macht stark)’라는 프로그램을 통해 소외계층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문화 교육 프로그램을 시행하고 있다. 우리 지자체가 이를 어떻게 응용할 수 있을지 알아보자.

 

독일 국립교육보고서에 의하면 18세 미만 아동 및청소년의 약 3분의 1이 어려운 사회적 환경에서 성장하며 저소득 또는 부모의 실업, 이민 등으로 인해 교육 기회를 제대로 누리지 못했다.

 

이처럼 학습에 필요한 지원을 제대로 받지 못하거나 아이들을 교육하는 데 도움을 원하는 학부모들을 위해 독일 연방교육연구부는 ‘문화는 힘이다 (Kultur macht stark)’라는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다. 이는 독일 최대의 문화교육 지원프로그램으로 3~18세의 취약계층 아동과 청소년을 대상으로 진행된다.

 

이 프로그램은 문화 교육은 많은 어린이와 청소년들에게 그들의 기술과 재능에 대한 자신감을 주고, 함께 배우는 즐거움을 알게 해주는 것으로 문화교육이 단순히 아이 들에게 문화를 접하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을 넘어 호기심과 창의력을 기르고 자신의 능력을 기를 수있도록 독려하는 데 그 목적이 있음을 말해준다.

 

1.png

  

‘문화는 힘이다’ 프로그램은 소외 계층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새로운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양질의 교육을 위한 사회 전반적인 책임을 활성화하며 어린이와 청소년을 격려하기 위해 가능한 한 지역 수준에서 강력한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데 그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아이들은 후원 및 멘토링 프로그램, 독서 진흥, 주말 활동, 음악, 무용, 연극 등의 활동을 하며 악기나 댄스교실에 참여하고 캔버스에 그림을 그리거나 박물관과 극장, 도서관을 방문해 다양한 교육을 받는 등 사회적 출신이나 환경에 상관없이 최고의 교육을 받을 수 있다.

 

아이들에게 이 프로그램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일정 조건이 필요하다. 우선 교육 취약계층 아이들을 위해 문화적인 과외활동을 제공할 수 있는 3개 이상의 지역 단체가 모인 ‘동맹 파트너(Bundnis)’를 구성해야 하며, 문화 교육이나 예술 작품 또는 아동 및 청소년에 대한 전문 지식이나 기술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들은 다른 교육 동맹 파트너들과 함께 파트너십을 체결하고 문화 교육을 지원하기 위해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역할을 하며 이를 위해 연방교육연구부는 2억 3000만유로(한화 2984억 1810만원)를 지원하고 있다.

 

1.png

 

최근 진행한 조사 결과 문화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아동과 청소년 94%가 이 프로그램이 없으면 문화교육을 전혀 접할 수 없는 환경에 처해 있으며 89%가 사회적 또는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현재 각 지역에서 시행되고 있는 문화교육 프로그 램의 90%가 자원봉사로 운영되고 있었다.

 

연방교육연구부는 이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강화하는 한편 이와 동시에 난민 청년의 문화교육을 위해 2017년까지 매년 500만유로(한화 64억 8735만원)를 추가로 지원하겠다고 발표했다. 특히 문화 교육은 학교에서 교육을 받지 못하고 직업 교육 또는 구직까지 오랜 시간 소요되는 난민 청년들에게 독일어와 독일 문화를 배우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사회통합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을 고려해 26세 까지 대상 범위를 확대했다.

  

2013년 처음 시행된 ‘문화는 힘이다’ 프로그램은 5년 단위로 이루어진다. 현재 32개 운영자(단체)에 의해 1만1500여 개의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으며 독일 내 36만명의 아동과 청소년이 참여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곡성군, '2025 전국생활체육대축전' 성황리에 개최

전남 곡성군(군수 조상래)에서는 '2025 전국생활체육대축전'에 궁도와 에어로빅힙합 2개 종목을 지난 24일부터 26일까지 반구정과 문화체육관에서 성황리에 개최했다고 전했다. 목포시를 주 개최지로 20개 시군에서 분산 개최된 이번 전국생활체육대축전에서 곡성에서 진행된 궁도 경기에는 300여 명, 에어로빅힙합 경기에는 500여 명이 각각 참가했다. 전국의 생활체육인들이 참가한 이번 대회에서 메달을 놓고 벌이는 각축전은 종목 특유의 흥과 볼거리로 관람객의 시선을 사로잡고 대회 내내 뜨거운 인기와 호응을 이끌었다. 곡성군은 이번 체전을 위해 분야별로 실무추진단을 꾸리고 곡성군체육회, 체육 종목 관련 단체들과 협업해 선수단과 관람객을 맞이하는 데 최선을 다했다. 특히,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유관기관과 협조 체계를 강화함은 물론 민관학 합동점검을 실시하고, 교통대책, 경기장 주변 정리 등 전국에서 오는 선수단이 불편함이 없이 최상의 컨디션으로 경기에 임할 수 있도록 빈틈없이 꼼꼼하게 챙겼다. 곡성군 관계자는 "이번 전국생활체육대축전 개최를 통해 대회준비 및 대회 기간 동안 전국의 선수단이 우리 지역에 머물면서 지역경제에 큰 보탬이 됐다"라면서 "전국에 곡성을 알리는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