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실이 되어버린 기후 위기, 그 해법을 '산림'에서 찾으려는 학술대회가 열렸다.
31일 대전 케이더블유컨벤션에서 '산림의 탄소흡수 능력 강화 학술대회(콘퍼런스)'가 산림청과 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이하 탄녹위)가 공동으로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탄소중립·녹색성장 국가전략 및 제1차 국가기본계획 수립 후 산림부문의 탄소흡수 능력 강화를 위한 주요 과제를 점검하고, 다각적으로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배재수 국립산림과학원장이 '기후위기 시대, 산림과 목재의 역할'을 주제로 기조 발제 후 '산림순환 경영 활성화', '국산목재 수요 확대방안' 2개 주제로 분과별 발표와 토의가 이어졌다.
'산림순환 경영 활성화'를 주제로 한 첫 번째 분과에서는 경제림 육성단지 중심의 '심고-가꾸고-수확'하는 지속 가능한 경영 방안을 모색하고, 기후 변화에 따른 미래 수종 발굴 및 조림 방향과 기업 등 민간 부문의 산림 경영 참여 활성화 및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국산목재 수요 확대'를 주제로 한 두 번째 분과에서는 일본을 비롯한 국외 주요 국가의 국산목재 이용 활성화 정책을 공유하고 법·제도적 개선 방향을 논의하였다.
또한 국산 목재의 품질과 가격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가공 체계 개선 방향과 목조건축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지원 사항에 대해서도 심도 있는 논의가 이뤄졌다.

남성현 산림청장은 "산림은 국토의 약 63%를 차지하는 탄소 흡수원이자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한 핵심 감축 수단"이라며 "산림순환 경영과 국산 목재 이용으로 산림의 흡수능력이 강화될 수 있도록 관련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나가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