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K-푸드 싱가포르 국제식품박람회 수출 상담 성과

국내 35개 우수 수출업체 및 5개 지자체, 56개 부스 규모 한국관 참여
신선 농산물부터 건강식품까지 수출 유망 품목 집중 홍보...3,700만 달러 수출 상담 성과

K-푸드가 동남아를 대표하는 최대 식품박람회인 '2023년 싱가포르 국제식품박람회(FHA Food & Beverage 2023)'에 참가해 3,700만 달러(약 490억 원)에 이르는 수출 상담 성과를 거뒀다. 

 

2023년 싱가포르 국제식품박람회는 올해로 46년째를 맞이하는 동남아시아 대표 박람회의 하나다. 이번 박람회에는 한국을 비롯해 미국, 브라질, 프랑스, 호주 등 총 45개 나라, 1,350여 곳 식품 기업과 전 세계 3만 명 이상의 바이어와 식음료 종사자들이 한 자리에 모였다. 

 

우리나라는 35개 수출 업체를 비롯해 전북·전남·경북 등 5개 지자체가 통합 한국관을 구성해 김치, 딸기, 배 등 신선 농산물과 홍삼, 콜라겐, 비타민 등 건강식품에 이르는 수출 유망 품목을 집중적으로 홍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식 행사도 활발히 펼쳐졌다. 우리나라 발효 음식의 대표 주자 김치, 간장, 고추장 등 전통 발효식품부터 배, 딸기, 샤인 머스캣 등 신선 농산물 만의 차별화된 맛과 향이 바이어들을 사로 잡았다. 

 

신선 배 통합조직 홍보관에서는 최상급 한국산 배가 소개됐다. 아삭한 식감과 과즙, 향미가 풍부한 배를 시식한 바이어들이 크게 호응했다고. 

 

권오엽 수출 식품 이사는 "먹거리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는 싱가포르는 K-푸드에 대한 호기심과 친밀도가 높아 현지 소비수요가 꾸준히 증가 중"이라며 "이번 박람회에서 반응이 좋았던 신선 배와 딸기를 중심으로 수출 확대로 이어지도록 다양한 수출지원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숲체험 하며 우리들은 자라요” [초등생 현장학습]

㈔미래인재교육개발원이 진행하는 '2025 숲체험 현장학습'이 본격 시작돼 서울 등 도시 어린이들에게 다양한 자연 체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올해 현장학습에는 28개 초등학교 4,000 여명의 어린이가 참여한다. 이 현장학습은 4월 10일 서울 상현초등학교를 시작으로 10개 학교가 이미 참여했으며 5월에도 10개교가 참여하고 있어 높은 참여 열기를 보이는 가운데 숲체험 현장학습이 어린이들에게 본격적으로 생태 감수성을 키울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현장학습은 교육에 필요한 교재, 체험 재료, 간식이 제공되며 주강사 보조강사 지도 아래 안전하게 진행된다. ‘Feel Green, See Dream’이라는 슬로건 아래 진행되는 이 현장학습은 아이들이 자연 속에서 정서적 안정을 회복하고, 또래 친구들과의 협동을 통해 사회적 관계를 확장하며, 자신의 꿈을 탐색할 수 있도록 기획되었다. 프로그램은 자연물 탐색, 자연물 빙고 활동, 자연물로 꿈 표현하기, 플로깅(plogging) 등 다양한 체험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업을 진행하는 ㈔미래인재교육개발원 관계자는 “숲은 아이들에게는 살아있는 교실”이라며 “그 초록의 교실에서 도시의 아이들은 꿈을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