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꽃피는 봄날 남도는 지금 목이 탑니다

갈대 노(蘆), 꽃 화(꽃) 갈대꽃이 아름다운 섬 전남 완도군 노화도는 고산 윤선도의 유적지가 많은 보길도와 연결된 섬이다.

 

지난 15일 오전 해남군 땅끝항에서 노화도 동천항까지 배로 30분 걸려 도착했다. 동천항에서 노화읍사무소 근처에 도착하니 점심시간이 되어 식당을 찾았다. 깔끔한 느낌을 주는 식당 주인 김상희(48세) 씨가 반갑게 맞이했다. 음식을 기다리는 사이 노화도의 물 사정을 물었다. ‘2급 6단’이라고 했다. 무슨 말인지 되물었다. 2일간 급수, 6일간 단수라고 했다. 내 생에 6일 단수는 처음 듣는 이야기다. 식당에서 나와 노화읍 이목마을을 둘러보았다. 지붕 위에 파란색 물탱크가 없는 집이 없었다. 심지어 5톤 물탱크가 두 개 있는 집도 있었다. 노화읍에서 볼 수 있는 아주 이색적인 풍경이었다.

 

 

노화읍 이목리 골목에서 만난 김춘자(68세) 씨는 얼마나 물이 귀한지 “소변을 보고 물을 내리는 것은 사치다.”라면서 “2일 급수해서 받아 쓸 수 있어도 그나마 다행이다. 겨울에 물통이 얼어 터지는 경우도 있고 타지역에 갔다가도 물이 나오는 날짜에 맞추어 들어와야 한다. 빨래도 몰아서 하는 등 가뭄으로 인한 불편이 이만저만이 아니다”라고 한참을 이야기했다.

 

마을을 둘러본 후에 노화읍 김준혁 읍장을 만났다. 노화도와 보길도는 다리로 연결되어 있고 노화읍 보길도 부항제 물이 오는데 현재 저수율은 15.3%이며 10% 미만으로 내려가면 지금 2단계 2일 급수, 6일 단수에서 3단계 2일 급수, 8~10일 단수 계획이라며 “지난해만 해도 2일 급수 4일 단수해서 이렇게까지 나쁘진 않았는데 올해는 전남 지방, 특히 섬 지방의 물 사정이 최악이라 그야말로 목이 타들어 가는 심정”이라고 말했다.

 

그렇다면 작년 4일 단수, 올해 6일 단수 연례행사로 이어지는 노화도와 보길도 등 섬지방의 가뭄을 해결할 어떤 대책이 있는지 노화도에서 완도군청으로 향했다. 군청 앞마당에 들어서는 순간, 군 청사에 「49년 만에 극심한 가뭄 1인당 20% 물 절약 실천」이라는 대형 현수막이 눈에 들어왔다.

 

 

군청에서 멀리 떨어진 상수도사업소는 차로 10분 거리에 있었다. 담당 소장은 현장 출장 중이라 담당만 만나고 돌아와서 완도군의회 노화도 출신 박재선 의원(산업건설위원장)에게 물었다. 완도군에서 물 공급에 대한 장기적인 대책으로 2026년까지 678억 원을 투입해 해남군 남석리 물을 끌어오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고 했다. 지금 당장 목말라 죽겠는데 4년 이상을 더 기다려야 한다는 말로, 먼 나라 이야기로만 들린다.

 

전라남도 동부지역본부 물환경과 정동호 사무관은 장흥 댐에서 완도 본섬으로 물이 일부 공급되고 있지만 노화도나 보길도 같은 작은 섬까지는 공급되지 않는다고 한다.

전라남도 지방의 물 사정은 완도군에만 해당하는 것이 아니라 화순군과 무안군 그리고 신안군 등 남부 지방도 사정이 다르지 않았다.

 

 

전라남도에서 가뭄 대책으로 제일 크게 기대하는 것은 하늘에서 내려오는 빗물이다. 그러나 완도군청에 걸린 커다란 현수막에 적힌 내용을 인용한다면 49년 만의 최악의 가뭄에 대비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가뭄과 별로 관련이 없을지 모르지만, 제62회 전라남도체육대회를 5월 12일부터 15일까지 완도군에서 개최한다는 포스터를 보았다. 이제 꼭 두 달 남은 큰 행사인데 어떻게 진행할지 조금은 걱정이 되기도 했다.

 

가뭄에 비가 많이 내리면 얼마나 좋으련만. 올해 봄 가뭄이 심상치 않다는 예측이고 바싹 마른 땅에 빗물이 땅속으로 더 스며들기 마련이다. 그만큼 물이 더 필요하다. 익히 아는 사실이지만, 가뭄으로 인해서 야기되는 각종 동식물의 생태 환경 변화와 사회적 영향을 고려해 본다면 큰 재앙이 아닐 수 없다. 장기적인 대책과 함께 비교적 쉬운 해수 담수화 시설과 같은 인프라 구축에 나서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끝으로 물 부족해서 큰 불편을 겪고 있는 주민께 위로를 기관과 부서의 공직자들에게도 응원의 말씀을 보낸다.

배너

발행인의 글


이탈리아, 농촌 및 도심 내 버려진 건물 재활용 프로젝트

2024년, 이탈리아는 농촌 지역과 도심 내 버려진 건물을 재활용하는 새로운 정책을 도입했다. 이 정책은 사용되지 않고 오래 방치된 건물들을 개조하여 주택, 공공 시설, 혹은 창업 공간으로 전환하는 프로젝트로, 도시 재생과 농촌 활성화를 동시에 이루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 정책은 이탈리아 전역의 지방과 도심의 쇠퇴를 방지하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탈리아는 유럽 내에서도 지방 인구 감소와 도심 쇠퇴 문제를 오랫동안 겪어온 국가 중 하나이다. 특히, 남부 이탈리아와 같은 지방은 인구 감소와 경제 침체로 인해 많은 건물이 방치되거나 버려진 상태로 남아 있으며, 이는 지방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탈리아는 2020년대 들어 지방 인구 감소가 본격화되었는데 특히 남부 지역은 2023년 기준, 1년에 5만 명 이상이 대도시로 이동하면서 60개 이상의 마을이 인구 감소로 소멸 위기에 처해 있다고 한다. 예를 들어, 몰리세(Molise) 지역은 지난 20년 동안 인구의 약 40%가 줄어들었고, 그 결과 수많은 주택과 상업 시설이 버려졌다. 이탈리아 대도시에서는 상업적 중심지였던 구역들이 상업 시설 이탈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