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지 줍는 노인 규모가 처음으로 파악됐다.
생계를 위해 폐휴지, 고철 등을 모으는 노인이 전국에 1만 5,000명가량으로, 경기 2,782명, 서울 2,363명, 경남 1,234명 순으로 많았고 대구 1,072명, 경북 1,016명, 인천 919명, 부산 848명, 전북 731명, 충남 685명, 전남 619명, 충북 586명, 광주 577명, 강원 456명, 울산 452명, 대전 420명, 제주 146명, 세종 49명 순으로 파악됐다.
강선우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서울 강서갑, 더불어민주당)이 한국노인인력개발원으로부터 받은 연구보고서 '폐지수집 노인 현황과 실태' 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폐지를 수집하는 노인은 최소 1만 4,800명에서 최대 1만 5,181명으로 추정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수치는 오로지 생계를 위해 폐지 수집에 적극적으로 활동하는 노인의 수로, 소일거리로 하거나 다른 일과 병행하는 경우까지 포함하면 그 수가 더 많을 것으로 보인다.
생계형 폐지수집 노인 10명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폐지수집 노인의 하루 평균 이동 거리는 12.3㎞였으며 11시간 20분가량 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 일당은 1만 428원으로, 이를 시급으로 환산하면 948원이다. 올해 최저임금의 10% 수준에 불과하다.
연구는 2021년 12월 29일부터 올해 2월 26일까지 적극적으로 폐지를 수집하는 노인 10명을 섭외해 목걸이형 GPS 추적 장치를 지급하고, 각자 6일 간 활동 실태를추적한 결과다.
강선우 의원은 "폐지를 수집하는 노인들이 폐지를 줍지 않고도 당장의 생계 유지에 지장이 없게 국가의 지원이 시급하다"라며 "단기적으로는 사회적 기업 연계와 국비 및 지방비 직접 지원을 통해 수입을 보전해야 하고, 장기적으로는 공공형 일자리의 영역으로 끌어안아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