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공유재산을 무단점유해 사용하는 경우 변상금 부과 사전통지 후 변상금 부과에 따른 그 이후의 독촉 절차

  • 등록 2022.10.04 17:02:40

 

Q. 질의
○○시는 소유하고 있는 공유재산을 A가 무단점유하고 있어 변상금 부과 사전통지를 한 후 변상금을 부과 했습니다. 그런데 납부 기한이 지나도록 납부하지 않고 있습니다. 이 경우 실무상 종전 담당자와 같이 변상 금 납부 독촉 최초 3개월 이내 3회 하고 매년 1회 이상 하고 있습니다. 이 경우 무단점유 기간이 계속 진행 됨에 따라 추가 변상금을 부과해야 하지만 독촉 절차 진행이 쉽지 않고 복잡한데, 이와 같은 독촉 절차 진행 이 적법한지요?

 

A. 의견 제시
공유재산을 무단점유해 사용하는 경우에는 당연 공유재 산 및 물품관리법 제81조 및 행정절차법 제27조 규정에 따라 변상금 사전통지 후 변상금이 부과됩니다. 물론 변상 금 부과 후 더 이상 무단사용하지 아니하는 경우 등을 제 외하고는 추가적으로 발생하는 무단점유 기간에 대한 변 상금 역시 변상금 사전통지 후 부과됩니다.


그런데 여기서 변상금 부과 후 기한 내 납부하지 않는 경우, 납부독촉 최초 3개월 이내 3회 하고 매년 1회 이상이라며 절차상 어렵다고 합니다. 


그런데 납부독촉 최초 3개월 이내 3회 하고 매년 1회 이상 이라는 특별한 규정은 없습니다.
이러한 점에서 우선 변상금 등(사용료, 대부료 등)의 소멸 시효와 독촉 절차 및 독촉의 의미를 살펴보겠습니다. 


원칙적으로 소멸시효의 기산점은 첫 납부고지에 따른 납 부 기한이 경과한 이후부터 기산하면 됩니다. 그러나 적법 한 절차에 의한 독촉장을 발부하는 경우 첫 납부고지가 아 닌 독촉장에 기재된 납부 기한까지 시효중단되고 독촉 기 한이 경과한 날부터 시효가 다시 진행합니다.


이 경우 만일 독촉장 발급이 법령에 의하지 아니한 때는 당 초 부과한 첫 납부고지에 따른 납부 기한이 경과한 후부터 기산됩니다.

 

그렇다면 법령에 의한 독촉장 발부를 살펴보겠습니다. 국유재산과 공유재산의 경우 적용 법령이 국세징수법과 지방세징수법으로 각각 나뉩니다.

 

국유재산은 독촉장 발급 기한 - 첫 납부 고지한 납부 기한이 지난 후 10 일 이내 (변상금 등) (국세징수법 제10조, 국유재산법 제73조) 납부 기한 - 발급일부터 20일 이내

 

공유재산은 독촉장 발급 기한 - 첫 납부 고지한 납부 기한이 지난 후 50 일 이내  (변상금 등) (국세징수법 제10조, 국유재산법 제73조) 납부 기한 - 발급일부터 20일 이내

 

또한 독촉장 발부는 1회에 한하고 시효중단의 효력이 있으며 그 후에 발부하는 독촉장은 그 횟수에도 불구하고 단순 히 납부촉구 또는 최고의 의미만 있을 뿐입니다.

 

이런 점에 서 독촉 최초 3개월 이내 3회 하고 매년 1회 이상 독촉은 실효성이 있을지 의문이며 납부하지 아니하는 경우 독촉 장 발부 후 기간이 경과되면 곧바로 체납처분 절차를 진행 함이 실효성이 있을 것입니다.


한편 독촉장 발부의 의미는 기한 내 납부촉구하고 재촉 하는 의미이며, 추후 재산압류 등 체납처분의 전제조건입니다. 


만일 독촉장 발부 없이 체납처분하는 경우 그 체납처분은 무효나 취소 사유가 될 수 있습니다.


아울러 독촉장 발부는 시효중단의 효력이 있으나(독촉장 에 기재된 납부 기한까지 시효중단) 그리고 중단된 시효는 독촉 기한이 경과한 때부터 다시 진행됩니다(법령에 따라 독촉장 발부한 경우에 해당).


만일 독촉장 발부가 법령에 따르지 아니한 경우 시효중 단의 효력은 없으나 압류 전제조건의 효력만 있을 뿐입니다.

배너
배너

발행인의 글


기장군, 풍성한 맛과 즐거움 가득한 '제29회 기장멸치축제' 개최

기장군(군수 정종복)은 오는 25일부터 27일까지 기장읍 대변항 일원에서 기장멸치축제추진위원회(위원장 박상현) 주관으로 '제29회 기장멸치축제'가 개최된다고 22일 밝혔다. 올해로 제29회를 맞이하는 기장멸치축제는 전국 최고의 수산물 축제이자 명실상부 기장을 대표하는 축제이다. 지난해 축제 미개최로 아쉬움이 컸던 만큼 올해는 더욱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25일 개막식을 시작으로 ▲기장 미역 채취 체험 행사 ▲맨손 활어 잡기 ▲멸치 가요제 ▲해상불꽃쇼 등 다채로운 문화 체험 행사가 펼쳐진다. 특히 멸치축제가 자랑하는 '멸치회 무료 시식회'가 축제기간 3일 내내 진행되면서 남녀노소 모두가 즐길 수 있는 풍성한 볼거리와 먹을거리가 제공된다. 다만, 추진위 관계자는 축제 3일 차인 27일 일요일 '제7회 기장 바다 마라톤대회 개최'로 오전 10시 30분까지 대변항 축제장 및 인근에 전면 교통 통제가 이루어질 예정으로, 27일 축제장을 찾는 관광객은 가급적 오전 11시 이후 방문해 줄 것을 당부했다. 한편, 기장의 대표 수산물 중 하나인 멸치는 우리의 식생활에서 빼놓을 수 없는 칼슘의 보고로 알려져 있다, 특히 봄철 기장군에서 판매되는 멸치는 몸길이

OECD 고용률 및 노동력 참여율, 사상 최고 수준 기록

글로벌 노동시장 동향 안정 속에서 주요 국가별 차이 뚜렷 OECD가 2024년 1월 발표한 ‘Labour Market Situation’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의 평균 고용률은 70.3%, 노동력 참여율(LFP)은 74%로 나타났다. 이는 각각 2005년과 2008년에 통계 집계가 시작된 이래 최고치를 기록한 것이다. 특히 프랑스, 독일, 일본, 터키를 포함한 38개 회원국 중 13개국이 해당 지표에서 최고 기록을 경신하거나 그에 근접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별 고용률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분기 OECD 회원국 중 약 3분의 2가 평균 고용률인 70.3%를 초과했으며, 스위스, 네덜란드, 아이슬란드가 80% 이상의 고용률로 상위를 차지했다. 반면, 터키는 55.2%로 가장 낮은 고용률을 기록했으며, G7 국가 중에서는 이탈리아와 프랑스가 평균 이하의 고용률을 보이며 주목받았다. 분기별 고용률 변화를 살펴보면, 15개국의 고용률은 전분기와 유사한 수준을 유지했으나, 12개국에서 고용률이 감소했고, 11개국에서는 증가했다. 이 중 룩셈부르크와 칠레는 고용률 감소폭이 가장 컸으며, 코스타리카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