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간 광역 협력 ‘메가시티’ 구상으로 국가 균형 발전 꾀한다

  • 등록 2021.04.05 11:23:33
크게보기

부산-울산-경남 ‘동남권 메가시티 구축’ 이어 충청권도 ‘광역계획권’ 발표

지난 2월 25일 문재인 대통령이 부산 강서구 부산신항에서 진행된 ‘동남권 메가시티 구축 전략 보고회’에 참석했다. 문 대통령은 “정부는 국가 균형 발전과 지역균형 뉴딜을 선도할 동남권 메가시티 구축 전략을 힘껏 뒷받침하겠다”고 말했다. 올해 메가시티 논의는 충청권, 전남권에서도 활발히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의 수도권 편중 현상은 심각한 상황이다. 신행정수도 건설, 혁신도시, 공공기관 지방 이전, 지역 거점 대학 육성 등 그간 수많은 대책이 나왔으나 수도권을 벗어나 실질적으로 생활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돼 있지 않다 보니 수도권-비수도권 격차는 전혀 좁혀지지 않았다.

 

이를 타개하기 위해 지자체 간 ‘초광역 협력’을 통해 ‘지역균형 뉴딜’을 구현하고, 농촌 인구 감소와 ‘지방 소멸’ 등 현안에 대응한다는, 이른바 ‘메가시티’ 구상이 부상하고 있다. 수도권에 인구가 몰리고 비수도권 발전이 저하되는 현상을 완화하기 위한 대책이다. 정부는 지난해 10월 ‘한국판 뉴딜’에 ‘지역균형’ 분가를 추가하고 김경수 경상남도지사가 ‘동남권 메가시티’ 구상을 발표했다.


동남권 메가시티는 부산-울산-경남을 광역 대중교통망으로 잇는 한편, 권역별 발전 전략을 수립해 동남권 광역 철도망을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해당 인구를 모두 합치면 800만 명에 이른다. ‘대심도 GTX 건설’ 등을 통해 경남과 부산을 1시간 생활권으로 연결하자는 제안도 나왔다.

 

자치단체 간 광역 협력 체계 구축을 통한 광역 경제권 형성은 충청권에서도 논의되고 있다. 지난 2월 22일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행복청, 청장이문기)과 대전광역시(시장 허태정)·세종특별자치시(시장 이춘희)·충청북도(도지사 이시종)·충청남도(도지사 양승조)는 정책협의회를 열고 ‘행복도시 광역계획권 확대조정안’에 합의했다.

 

[더지방포스트=선승범 기자]

선승범 기자 sun.paruru@gmail.com
tvU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무단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


지방정부 tvU(티비유) | 발행인 겸 편집인 : 이영애 | (본사) 서울 종로구 자하문로16길 1, (분원) 서울 종로구 경희궁3나길 15-4 | Tel : 02-737-8266, 02-739-4600| E-mail nlncm@naver.com 등록번호 : 서울, 아04111 | 등록일ㆍ발행일 : 2016.07.19 | 사업자정보 : 101-86-87833 청소년 보호 관리 담당자: 편집부 차장 /청소년 보호 관리 책임자: 발행인 지방정부 tvU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무단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