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MBC
요즘 텔레비전에는 '노인들'만 출연한다고 불만을 표하는 청소년들의 대화가 널리 회자된 바 있다. 그들은 <놀면 뭐하니> 재방송을 보고 있었다. ‘언제 적 엄정화, 이효리냐’며 한 이야기라고 한다. 이효리, 비, 유재석의 ‘싹쓰리’로 재미를 본 제작진은 스핀오프 격으로 엄정화, 이효리, 제시, 화사를 섭외해 ‘환불원정대’를 기획했다. 이들은 각각 ‘만옥’, ‘천옥’, ‘은비’, ‘실비’라는 이름의 ‘부캐’(副캐릭터)를 연기했다.
'부캐 열풍'이란 무엇인가?
부캐란 본캐(本캐릭터)와 대비되는 것으로 온라인 비디오게임에서 많이 쓰이는 말이다. 가령 친구와 게임을 하고 싶은데 레벨 차이가 너무 심해 같은 서버에서 마주칠 수가 없다거나 할 때 계정을 새로 만들어 게임을 시작한 지 얼마 안 된 친구와 게임을 즐기는 식이다. 특히 오픈월드 MMORPG 게임의 경우 이를 계기로 본캐를 육성시켰던 일련의 과정과 다른 방식으로 새로운 플레이를 전개하게 된다. 기존의 캐릭터를 육성하던 과정에서 취했던 몇 가지 중요한 선택들에 변화를 주면서 전혀 새로운 스토리를 맞이할 수 있다는 점에 매료되어 점차 많은 사람이 그러한 ‘리셋’ 버튼을 현실 삶에서도 열망하게 된 것이다.
<놀면 뭐하니>에서 유재석이 연기한 ‘유고스타’, ‘유산슬’, ‘유두래곤’이나 김신영의 ‘김다비’까지 대중 연예인들이 보여주는 부캐릭터들은 보통 사람들에게는 상류층 집단이 남는 시간을 활용한 유희 이상의 것으로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다만 이들을 보면서 지금과는 다른 삶을 살고자 하는 열망을 자극받는데 대안적 삶을 제시할 모델이 부재한 탓에 시선을 과거로 돌리는 것이다.
지금 삶이 고달플 때 정상 사회에서는 으레 내일을 기약하며 오늘을 버틴다. 하지만 내일이 오늘보다 나아질 가능성은 없고 오히려 더 나빠지기만 할 것이라는 생각이 지배적인 사회에서 우리는 과거를 돌아본다. 이제는 이미 말하는 사람이나 듣는 사람이나 새삼스럽고 지겨운 이른바 ‘복고 열풍’은 이러한 측면에서 살펴봐야 할 것이다. ‘부캐 열풍’은 ‘복고 열풍’의 일 현상에 다름없다.
네가 왜 거기서 또 나와?
복고 열풍 이야기가 지치는 이유는 그 열풍의 열기가 십 년이 넘도록 꺼지지 않기 때문이다. 유행이 그토록 오래 지속되면 그것은 이미 유행이 아니라 전반적인 문화 자체가 되었다고 하는 것이 맞다. 이제는 과거를 돌아보는 시선과 향수를 문제시할 것이 아니라 과거에 멈춰 있는 문화를 사고해야 한다. 미국의 문화철학자 프레드릭 제임슨이 예견했듯 지금은 과거의 복제, 패러디, 혼성모방만이 남은 것은 아닌가? <무한도전>의 ‘토요일 토요일은 가수다’는 본격적으로 한국 대중문화가 과거의 유령에 의해 잠식되는 계기가 되었고 90년대 활동하던 가수들이 재조명받는가 하면 당시 톱스타였던 연예인들은 여전히 톱스타로서 방송가를 점령하고 있다. 20여 년 전 댄스곡들을 재구성한 노래가 차트를 석권하고 트로트 가수들이 전례 없는 전성기를 구가한다. 앞서 청소년들이 했다던 말대로, 텔레비전에 노인들만 나오며 노인들이 좋아하는 콘텐츠만 나온다.
언제 적 유재석, 강호동, 신동엽이야?
‘언제 적 엄정화, 이효리냐’라는 질문은 ‘언제 적 유재석, 강호동, 신동엽이냐’라는 질문으로도 이어져야 할 터이다. 이를테면 유재석이 톱스타로 발돋움한 계기가 된 <스타 서바이벌 동거동락>을 촬영할 당시 만 29세에 불과했는데 당시에는 느지막한 나이로 간주되었다. 현재 만 서른이 안 되는 코미디언이나 MC 등 방송인이 단독진행으로 지상파 텔레비전 프로그램의 간판이 된다고 상상하면 굉장히 어색하다. 영화계도 대동소이하다. 남자 주연배우는 여전히 한석규, 송강호, 이병헌 등 60년대에서 70년대 생이 독점하다시피 한다. 할리우드에서도 상황은 크게 다르지 않다.
이와 더불어 필름 사진, LP판 등이 부활하고 과거의 기술적 한계로 말미암은 조야한 질감을 재연하는 저예산 영화나 뮤직비디오, 음악, 인디 게임 등이 인기를 끈다. 소위 ‘세기말 감성’의 대유행은 막연하나마 좋았던 시절로 학습했거나 그렇게 기억하고 있는 시대로 돌아가고자 하는 욕망의 발로일 테다.
텔레비전이 지겹다
텔레비전에는 '늙은이들'만 나오고 리메이크, 리마스터가 대중문화 시장을 잠식한다. 우리에게 남은 것은 재활용뿐이며 미래에 대한 상상력은 고갈되어 있다. 영국의 문화비평가 마크 피셔는 이를 두고 ‘미래가 서서히 중단되고 있다’(slow cancellation of the future)고 표현했다.
한국의 트로트 대유행은 강한 구매력이 있는 중장년층 이상에 해당하는 이야기며, 이들에 비해 구매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청년층에게는 먼 세계의 일일 따름이다. 급기야 <미스터트롯> 영화판마저 개봉하는 등 한국 문화산업이 소구하는 대상의 연령층이 급격히 올라가고 있다. 사실상 한국 문화는 영원한 답보에 빠졌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문화적 불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