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배달앱을 배달로 한정 지어서는 곤란하다. 지역을 아우르고 나아가 전국, 전 세계와 연결할 수 있는 글로벌 플랫폼을 지향해야 한다. 중앙으로부터 분리돼 진정한 지방분권과 경제적 자립을 꿈꿀 수 있는 기회다.
공공배달앱은 ‘배달서비스’를 기반으로 시작하더라도 결코 배달앱에 한정되어선 안 된다. 지역을 아우르고 종국엔 전 세계 각지를 연결하는 ‘글로벌 플랫폼’이 돼야 한다. 그래서 첫 단추가 중요하다.
지자체별 애플리케이션(이하 앱) 명칭부터 중장기적인 확장성을 고려해야 한다. 지역에서 제조·생산된 상품과 특산물 등을 온라인으로 전국, 전 세계 소비자에게 판매할 수 있는 ‘역직구 플랫폼’까지 확장성을 가져가야 한다. 그래서 애초에 다국어 서비스가 가능해야 한다. 말하자면 처음부터 동네 구멍가게를 만들 것인지, 해외에도 먹힐 지역 브랜드 플랫폼으로 제작할 것인지 선택해야 한다.
카카오톡을 기반으로 성장한 카카오는 대리운전, 택시, 헤어숍 등 다양한 업종으로 서비스를 확장했다. 카카오톡의 시작은 작은 스타트업이었다. 지자체라고 못 할 이유가 전혀 없다. 지자체에서 개발하는 공공배달앱은 반드시 미래 확장성을 고려한 플랫폼으로 책임자를 명확히 지정하고 단기·중기·장기 전략과 계획을 수립해 개발돼야 한다. 단체장이 바뀌어도 TFT는 민·관·산·연 등 전문가로 구성해 자치단체 재정자립도를 늘리는 경제적 실익과 지역 내 주민들과 직접 소통할 수 있는 형태로 기획, 운영돼야 한다.
전국 지자체에서 개발하는 공공배달앱 개발 프로젝트는 지역경제의 자립도를 높이고 지역 주민 간 직접적인 온·오프라인 소통을 가능하게 구현할 수 있는 플랫폼이 될 수 있다. 단순히 앱 하나 만들고 끝내는 인기영합주의 형태로 진행돼선 결코 안 된다.
그래서 앱을 개발하는 단계부터 개발자 중심이 아닌 앱을 사용하게 될 지역 주민은 물론, 전 세계 각지의 잠재 이용자까지 고려해 서비스를 기획해야 한다. 지역에서 생산된 공산품, 농산물, 임산물, 수산물 등 지역 특산물을 전 세계 소비자에게 팔 수 있어야 한다는 의미다. 당연히 가공이나 유통·물류 등의 전방위적 역할은 지방자치단체가 주도해야만 규모의 경제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한발 더 나아가 외국인을 대상으로 지역 대표 여행지, 숙박시설 등의 서비스업, 관광업 등으로 판매 상품을 다각화할 수 있다.
그래서 애초에 전국 지자체 전용 데이터센터(IDC) 자체 구축까지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공공배달앱은 디지털 시대에 필요한 공공 인프라로 사회간접자본(SOC) 시각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말했다.
필자는 이 말에 100% 공감한다. 자율주행자동차, 스마트시티 등은 곧 우리 앞에 다가올 현실이다. 모두 통신과 데이터가 핵심이다. 앞으로 우리 삶에 얼마나
많은 데이터가 축적될지 상상조차 안 간다. 그 데이터를 보관해야 할 데이터센터는 SOC가 맞다. 민간기업에 종속되느냐, 아니면 국가가 중심이 돼 미래 국가 기간산업 역할을 할 데이터센터를 구축해 관리하느냐의 문제로 접근해야 한다.
이번 코로나19 사태에도 목격했지만, 앞으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질 수밖에 없다.
코로나19를 통한 학습효과를 계기로 교육, 의료 등을 비롯해 앞으로 다양한 영역에서 비대면 서비스가 확대될 여지가 높다. 서버 증설을 비롯한 공공 인프라 구축이 시급하다는 의미다.
제조기업의 공급망 측면에서도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주도의 강력한 공급망관리(SCM)가 더욱 중요해졌다.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자국 기업에 미국으로 다시 돌아오라고 강조하는 리쇼어링(기업의 본국 회귀)정책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코로나19로 인해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자국 우선주의 분위기가 팽배해지는 국제사회 분위기를 보면 우리나라 또한 정부와 지자체 역할의 확대는 불가피해보인다. 그래서 이번에 불씨가 된 공공배달앱 개발은 ‘나무’가 아닌 ‘숲’을 보는 방식으로 진행돼야 한다.
인터넷 속도의 비약적 향상과 스마트폰 기기의 확산은 초연결사회(hyper-connected society)를 야기했다. 국경과 지역, 언어, 문화를 넘어 다양한 방식으로 비즈니스를 확대할 수 있는 기회의 문이 열린 셈이다. 배달의민족이 만든 배달앱 역시 그런 비즈니스 중 하나일 뿐이다.
말하자면 규모가 작은 소작농도 농작물을 가공해 전 세계로 쉽게 판매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는 의미이며, 그 역할을 개개인이 할 게 아니라 각 지자체가 중심이 돼 물량을 모아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는 방식으로 유통, 물류비용을 절감하면 충분히 경쟁력을 갖고 수익모델을 만들 수 있다.
게다가 한국은 삼면이 바다이자 남북이 단절된 사실상 섬나라로 볼 수 있다. 그래서 해운과 항공산업이 고도로 발달해 글로벌 교통·물류 측면에서도 상당한 강점이 있다. 비록 한진해운이 파산돼 해운산업이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여전히 부산항은 전 세계 주요 환적항 역할을 수행하며 국가 수출입 물류비 절감에 상당히 기여하고 있다. 또한 인천공항 역시 세계에서 손가락 안에 드는 여객·물류 운송의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그러니까 우리나라는 해운과 항공을 중심으로 우수한 국제적 교통·물류망이 구축돼 있어 초연결사회의 핵심인 ‘연결’ 부문이 여느 국가에 비교하더라도 경쟁 우위에 있다.
어쨌거나 공공배달앱 성공 가능성을 회의적으로 보는 시각도 많고, 또 공공기관이 민간기업과 경쟁하는 것이 맞느냐는 반문의 목소리도 있다.
그럼에도 필자는 공공배달앱은 ‘배달’을 넘어 더욱 범위를 넓혀 단기·중기·장기 로드맵을 구축해 개발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는 각 지자체가 진정한 분권과 자립을 실현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라고 생각한다. 국가 사업권 유치하기 위해 서울과 부산이 경쟁하는 그런 시대는 끝났다. 서울과 뉴욕이 뉴욕과 홍콩이 경쟁하는 그런 시대가 이미 눈앞에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