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례없는 기술의 진보와 저성장, 인구절벽 앞에 우리나라의 경제는? 이미 시작된 미래, 한국 경제의 새로운 기회를 홍춘욱 이코노미스트와 박종훈 KBS 경제부장의 경제 대담을 통해 들여다본다.
밀레니얼 세대의 시장 진입을 어렵게 하는 것은?
한국 경제는 58년 개띠로 대표되는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시기가 도달한 데다 IT 혁명의 혜택을 받은 새로운 세대, 즉 밀레니얼 세대의 전면 부상 등 여러 면에서 변화를 겪고 있다. 밀레니얼 세대는 소비와 생산, 투자, 고용의 주축인 경제구조를 밀레니얼 이코노미라 부르며 전 세계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그런데도 한국에서 밀레니얼 세대는 기존의 시장 진입이 녹록지 않아 보인다. 분명 우리 역사상 풍족한 시대에 나고 자랐음에도 부모보다 가난한 세대로 분류될 만큼 취업도 어렵고 소득이 낮아 미래를 준비할 여력이 없다.
이를 두고 이 책의 두 저자 홍춘욱 박사와 KBS 박종훈 경제부장은 지연된 밀레니얼 이코노미라고 진단했다. 이전 세대에서 해결하지 못한 채 지금까지 끌고 온 여러 구조적 문제로 인해 밀레니얼 세대가 주체적인 역할을 하지 못해 세대교체를 하지 못하고 있는 경제 상태라는 뜻이다.
밀레니얼 세대, 역사상 가장 운 나쁜 세대?
2020년 이후 한국 사회와 밀레니얼 세대는 이전 세대가 남겨둔 경제구조와 산업, 노동, 소비, 투자의 여파를 맞닥뜨리게 된다. 밀레니얼 세대는 원하는 일자리가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 특히 대학 전공별 일자리 미스매치가 화두다. 기업 측은 공학 전공 졸업자에 대한 초과수요가 있지만, 실제로는 인문학 전공 졸업자들의 초과공급이 문제다. 여기에 제4차 산업혁명과 숙련 편향적 기술 진보라는 기술 충격도 영향을 미쳤다.
두 저자는 밀레니얼 세대가 겪는 어려움의 핵심은 취업 시기가 늦어져 발생하는 자산의 부족 현상을 꼽는다. 이전 세대와 비교해 소비 수준이나 저축률이 낮지 않지만, 저금리 기조다 보니 자산 증식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는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는 지금의 대한민국이 겪고 있는 혼인율 추락과 낮은 합계출산율, 30대 주택 자가소유율 하락을 낳고 있다는 것이다. 이것이 결국 한국 경제의 주자 교체를 더디게 하고 있다고 한다.
지금의 산업과 소비, 투자의 기회는 어디로 이동하는가
이런 상황에서도 2020년을 기점으로 밀레니얼 세대는 경제의 주도권을 쥐고 이전 세대와는 다른 소비와 투자, 일자리, 산업의 변화를 견인하고 있다. 기술과 소비자의 요구가 있는 곳에서 떠오르는 신산업과 스타트업 열풍을 언급하며 작은 시장 규모와 규제 유예에 갇힌 한국의 스타트업이 신성장 동력으로 떠오르기 위해 정부의 정책 전환 필요성을 주장했다.
이와 함께 밀레니얼 세대가 이전 세대와 달리 공유경제와 긱 경제, 공정하고 정의로운 기업에 대한 선호가 기업과 산업의 미래를 바꿀 수 있는지 가능성도 다루고 있다. 비트코인이 대안 투자처로서의 평가, 안전 자산보다는 고위험·고수익 상품을 선호하는 이 세대들에 금과 달러 투자가 어떤 수익을 기대하게 하는지처럼 한국 경제가 경험하게 될 밀레니얼 이코노미의 전반적인 변화상을 여러 데이터를 근거로 촘촘히 분석했다.
책 속으로…
지금 밀레니얼 세대가 겪고 있는 일자리 문제 중에 또 한 가지 언급하고 싶은 것은 ‘일자리 미스매치(mismatch, 잘못된 짝)’ 현상입니다. (중략) 2019~2024년 4년제 대학 공학 전공자에 대한 수요는 50만 4,000명입니다. 그런데 이 기간에 졸업할 것으로 예상되는 공학 전공자들은 38만 명이 안 됩니다. (중략) 그런데 같은 기간에 제가 전공한 인문·사회계열에 대한 인력 수요는 43만 명 정도라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문제는 이 기간에 인문·사회계열 졸업장을 받을 학생들은 무려 58만 명이나 된다는 점입니다. 공급 과잉이죠. - 55~57P
목돈 만들기가 어려워진 원인 중에 가장 먼저 언급해야 할 것은 ‘저금리 기조’입니다. 1970년대까지 정기예금의 평균 금리는 연 20%를 오르내렸고, 1980년대에는 연 10% 수준이었습니다. (중략) 결국 만만해 보이는 목돈 마련처가 없다는 것이 현재 밀레니얼 세대가 직면한 현실입니다. 자산 형성이 이렇게 어려워지면 이는 곧장 부의 양극화로 연결됩니다. (중략) 대부분의 평범한 젊은이들에게는 목돈을 만들 상황 자체가 오지 않습니다. 그래서 ‘욜로’니, ‘탕진잼’이니 하면서 오늘이라도 행복하게 살자는 소비 트렌드가 발견된다는 거죠. - 163~166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