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이 돌아와야 지역이 산다 도시청년 시골파견제 전국 확대

  • 등록 2019.08.13 09:40:50
크게보기

 

2.JPG

 

경상북도가 첫발을 내디딘 도시청년 시골파견제는 10년간 해마다 6,500명의 청년들이 외지로 떠나가고 인구 고령화로 쇠퇴하고 있는 경북을 살리기 위한 자구책이다. 

 

청년 수혈로 지역 살린다

경상북도가 대도시로 떠난 청년들이 지역에 돌아오게 만들기 위해 중요한 첫걸음을 내디뎠다. 이대로 가면 앞으로 23개 시·군 중 17개 시·군이 소멸한다는 위기 진단을 받은 경상북도는 위기 탈출을 위해 경북형일자리 만들기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경북형일자리 만들기 사업 모델 중 가장 주목을 받고 있는 것이 ‘도시청년 시골파견제’다. 

 

 ‘도시청년 시골파견제’는 도시 지역에서 경북으로 주소지를 옮겨 창업·창작 활동을 하는 만15~39세 청년에게 정착비 및 사업화 자금 명목으로 1인당 3,000만 원을 지원하는 제도다.

 

‘도시청년 시골파견제’는 일본에서 성공한 정책인 ‘지역부흥협력대’를 벤치마킹한 것이지만 청년이 돌아오는 지역을 만들기 위한 경상북도의 오랜 고민 끝에 탄생했다. 사업 아이디어가 참신하고 실현가능성이 크다고 중앙정부가 판단, 하반기부터 국가사업으로 확대돼 전국적으로 시행된다.

 

도시청년 시골파견제란

도시청년의 시골유입으로 지역 일자리를 만들고 무너져가는 마을공동체 복원을 통해 지역활력화를 도모하는 것이 목적이다. 저출산, 고령화, 청년유출에 의한 지방인구 감소와 대도시로의 인구집중에 따른 인구 양극화 해소도 노린다.

 

올해 부터 본격 추진하며 2020년까지 300명의 청년을 유치하고 일자리를 만들어주는 것이 목표다. 사업비는 32억 원(국비 12억 원, 도비 11억 원, 시군비 9억원)으로 경상북도가 올해 행정안전부 지역주도형 청년일자리 사업 공모에 선정되어 국비 지원을 받게됐다.

 

사업대상은 전국의 만 39세 이하 청년이며 대상으로 선정되면 정착할 수 있도록 사업화자금, 정착비를 지원한다. 

 

활동분야는 문화창작형, 청년창업형, 역사자원형으로 나뉘는데 문화창작형은 음악, 미술 등 청년문화예술관련 창작활동, 청년창업형은 특산품, 자원과 연계한 카폐, 게스트하우스 등이고 역사자원형은 스토리텔링 활용한 체험프로그램, 상품제작 등이다. 이 사업은 지역의 연구기관, 학교, 자치단체 간 협력적 거버넌스 체계로 운영되며 경상북도에서는 대구경북연구원, 4개대학(경북대, 대구한의대, 동양대, 안동대), 경제진흥원이 참여한다. 

 

경상북도는 2017년 도시청년 시골파견사업에 참여하는 3개팀 10명을 선정했다. 선정된 3개 팀은 리플레이스팀, 다카포팀, 디자인스위치 3개 팀으로 각각 5명, 2명, 3명의 청년들이 참여한다. 리플레이스팀의 사업내용은 문화와 청년이 만나는 한옥게스트하우스를 운영하고 다카포팀은 청년 카페 및 편집숍을 운영한다. 디자인스위치팀은 문경과 상주에 있는 후백제왕 견훤 유적지 캐릭터와 상품 등을 제작한다.

 

‘도시청년 시골파견제’는 도시지역의 재능 있는 청년들을 지역으로 유입해 신규 일자리를 창출하고 청년활동을 통한 마을공동체 복원을 노리고 있다. 시골로 이주·정착하려는 청년들이 제안한 문화예술창작, 청년창업, 지역자원을 활용한 콘텐츠 개발 등의 사업아이템에 대한 심사를 통해 최대 3년동안 지원한다.

 

도원우 리플레이스팀 대표는 “대구에서 경북 일자리 공모사업을 알게 되어 아내와 함께 제가 즐길 수 있는 일을 한번 해보자 하는 마음으로 게스트하우스를 해볼 생각을 하게 되었다. 다른 지역보다 비교적 개방적인 문경으로 와서 사업지를 물색하다가 시의 공모에 지원해서 이곳에서 사업을 하게 됐다”고 말했다.

 

경북도 일자리청년정책관은 “도시청년 시골파견제가 청년들이 지역에 와서 일자리를 만들고, 마을공동체가 회복되고 나아가 지역사회가 활력을 찾는 데 마중물 역할을 할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청년 몇 십 명, 몇백 명의 유입으로 지방소멸 우려를 당장에 해소할 수 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다만, 청년들이 시골마을에서도 충분히 가치 있는 삶을 살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그런 분위기를 확대하여 우리지역을 새로운 삶의 터전으로 리모델링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라고 있다”라고 말했다.

 

도시청년 시골파견제가 경북은 물론 전국에 확산되어 대도시에서 돌아오는 청년들이 지역을 살리는 촉매제가 되기를 기대한다.

박공식 kongsikpark@hanmail.net
tvU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무단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


지방정부 tvU(티비유) | 발행인 겸 편집인 : 이영애 | (본사) 서울 종로구 자하문로16길 1, (분원) 서울 종로구 경희궁3나길 15-4 | Tel : 02-737-8266, 02-739-4600| E-mail nlncm@naver.com 등록번호 : 서울, 아04111 | 등록일ㆍ발행일 : 2016.07.19 | 사업자정보 : 101-86-87833 청소년 보호 관리 담당자: 편집부 차장 /청소년 보호 관리 책임자: 발행인 지방정부 tvU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으며,무단복제 및 복사 배포를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