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이후 여행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세계 각국이 신음하고 있다. 이른바 오버투어리즘 때문이다. 오버투어리즘이란 지나치게 많다는 뜻의 'Over'와 관광을 뜻하는 'Tourism'이 결합된 말로, 수용 가능한 범위를 넘어서는 관광객이 몰려들어 관광객이 도시를 점령하게 되고 관광지 주민들의 삶을 침범하는 현상을 말한다. 관광객이 너무 많이 몰려들게 되면 그 관광지는 환경 생태계 파괴, 교통대란, 주거난, 소음공해 등의 여러 부작용을 겪게 되며 급기야 원주민이 다른 곳으로 이전하게 된다.
코로나 이후 보복여행 수요 폭발
이런 오버투어리즘 현상은 코로나 이후 보복여행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난 영향 때문이다. 문제는 이게 반짝하고 말 일이 아니란 것이다. 왜냐하면 해외 관광객이 올해 역대급으로 늘어날 뿐 아니라 앞으로 수년 동안 계속 늘어갈 것이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전 세계 해외 여행객이 가장 많았던 해는 코로나 직전인 2019년(15억명)이었는데 UN 세계관광기구(UNWTO)는 올해 이 기록이 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왜 이렇게 관광객은 빠르게 늘어갈까? 이유는 간단한데, 먹고살 만해졌기 때문이다. 달리 표현하자면 중산층이 빠르게 늘기 때문이다. 전 뉴욕관광청 이사인 맥스 스타코프는 “지난 25년 동안 25억명 넘는 사람이 빈곤층에서 중산층으로 올라갔습니다. 향후 20년 동안에 20억명이 추가될 것입니다. 중산층은 가처분 소득 상승을 의미하고 가처분 소득 증가는 곧 여행을 뜻합니다.”라고 말했다.
가처분 소득의 증가뿐 아니라 소셜미디어의 영향 또한 오버투어리즘 문제를 키우는데 일조하고 있다. 위대한 예술작품이나 건축물 앞에서 인증샷을 찍는 게 너무도 중요해져서 ‘인증샷 성지’로 알려진 일부 핫스폿에 관광객이 집중되어 혼란을 가중시키는 것이다.
오버투어리즘의 폐해를 줄이려는 노력 잇달아…
오버투어리즘으로 인한 폐해를 줄이기 위해 세계 각국은 갖가지 묘안을 짜내고 있다. 스페인 바르셀로나시는 지난 달 구글맵과 애플 지도에서 116번 버스를 삭제해버렸다. 몰려드는 관광객 때문에 버스가 너무 붐벼서 주민들이 불편을 겪게 되자 시의회가 노선 삭제를 요청한 것이다. 네델란드 암스테르담시는 ‘스테이 어웨이(Stay Away)’라는 광고 캠페인을 통해 ‘디마케팅(수요를 줄이는 마케팅)’에 열을 올리고 있다. 이탈리아의 베네치아는 4월 25일부터 도시 방문객에게 5유로(약 7500원)의 입장료를 부과하는 시범 프로그램을 운영 중인데, 특정 관광지역이 아닌 도시 진입 자체에 입장료를 물리는 것은 사상 유례 없는 일이다. 그리스 아테네의 아크로폴리스는 시간제 티켓팅 시스템을 통해 시간대별 입장 인원을 제한하고 있다. 프랑스 파리는 오는 7월 올림픽을 앞두고 기존 호텔 숙박객들에게 부과던 관광세를 올 초부터 최대 3배까지 올렸다. 관광세를 도입하고자 하는 일본은 연간 약 400억 엔(약 3500억원)의 세수를 전망하며 ‘쾌적하게 여행할 수 있는 환경 정비’, ‘일본의 매력에 관한 정보입수의 용이화’, ‘관광자원 정비를 통한 체험체류 만족도 향상’ 등 3개 분야에 쓰겠다고 밝혔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관광세를 별도로 부과하고 있지 않다. 제주도는 지난해 ‘환경보전부담금’으로 불리는 관광세 도입을 논의한 바 있다.
관광전문가들은 세금이나 수수료 같은 무딘 정책으로는 오버투어리즘의 폐해를 줄이는데 한계가 있다고 한다. 지속 가능한 관광을 위해서는 정부, 관광업계, 지역사회, 그리고 관광객 모두가 함께 노력해야 한다. 올바른 정책과 책임 있는 관광문화가 정착된다면, 오버투어리즘의 부정적인 영향을 줄이고, 관광산업의 긍정적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다.
[지방정부티비유=티비유 기자]